Book(책) / Moive(영화) / Tour(전적지 답사) / 무기체계(전투장비) / 전략 및 전술 / 방위산업 / 과거 전쟁 / 현재 전쟁 / 미래 전쟁 / 국방개혁(군사혁신) / 북한 및 통일 / 군사 및 병영 문화 / 기타 군 및 안보관련 이슈
군/전쟁/안보 관련 책, 영화, 전적지 답사, 무기체계(전투장비), 전략 및 전술, 방위산업, 전쟁, 국방개혁, 북한 및 통일, 기타 군 및 안보관련 이슈의 독후감/감상문/비평/답사기/소개/의견/전망 등을 자유롭게 작성해주세요.
단, 욕설/비방/관련없는 내용, 타인이 저작물에 대해 출처 없이 게재하는 내용은 관리자에 의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MOVIE(영화/유튜브)콰이강이 다리 / 버마전역, 병참선의 중요성
버마철도 / 버마전역 / 병참선
콰이강의 다리(The Bridge on the River Kwai, 1957년 작)
감독 : 데이비드 린
주연 : 알렉 기네스, 잭 호킨스, 윌리암 홀덴
전쟁영화는 단지 영화 예술로서의 아름다움 뿐 아니라 우리에게 전쟁에서의 인간의 심리, 전쟁의 교훈과 배경 등 많은 의미 있는 내용을 전해줍니다.
이 영화 역시 포로가 된 군인들의 심리를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저에게는 버마철도와 태평양 전쟁 시 버마전역 등 영화의 배경이 되는 사건과 장소가 더 의미 있게 다가왔습니다. 그리고 그 과거의 사건과 장소의 의미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음을 깨닫게 해 줍니다.
콰이 마치(휘바람)라는 영화음악으로 잘 알려 져 있는 이 영화는 영국 공병 장교 니컬슨(알렉 기네스 / 스타워즈 시리즈 원조 제다이, 오비완 케노비로 잘 알려진 영국배우)이 태국의 콰이강 급류에 연합군 포로들과 함께 교량을 건설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영화는 실제 태평양 전쟁 중 일본군이 건설한 태국과 버마(미얀마)를 연결하는 버마철도(Burma Railway, Thailand(Bankok)-Burma(Rangoon) Link Railway, 일명 죽음의 철도(Death Railway))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실제 많은 연합군 전쟁 포로와 민간인들이 철로 건설에 동원되었고 11만 여명이 질병과 굶주림으로 사망했다고 합니다. 역사적 사실을 배경으로 한 팩션 형태의 영화입니다.
일본군은 태국과 말레이반도를 장악 후 버마와 인도방면으로 공격을 진행합니다. 버마는 일본군에 저항하는 장개석 군을 위한 연합군의 후방보급로인 버마로드(인도와 중국 윈난성 쿤밍을 연결, 1938년 영국령 인도제국이 건설)가 있던 지역이었습니다. 연합군의 입장에서 버마를 상실하면 인도의 영국이 고립되며 중국으로의 연합군 병참선이 상실되는 중요한 곳이었습니다.
영화의 배경이 되는 버마철도는 일본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꼭 필요한 병참선이었습니다. 실제로 일본군은 버마 점령 후 1944년 무타구치 렌야 (중일전쟁의 시발점이 된 노구교사건(1937년)과 임팔전투(1944년)에서 무모한 정신력에 의지해 일본군을 패배로 이끈 장본인) 장군이 인도(임팔)를 공격합니다. 결국 이 전투에서 일본군은 5만 여명이 손실을 입고 패하게 되는데 대부분이 굶주림과 질병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이 버마 전역에서 미얀마의 독립영웅인 아웅산 장군(아웅산 수지 여사의 아버지)은 초기에는 일본군과 협력(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하여 싸웠고 나중에는 연합군과 협력하여 일본군과 싸웠습니다.
전쟁에서 병참선은 승패를 좌우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일본제국은 병참선 확보를 위한 도로와 철도 건설을 위해 심혈을 기울였습니다. 동남아, 한반도, 만주 등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적지 않은 철도망과 도로망이 이 시기에 건설되었습니다. 지금의 용산역 일대가 바로 일제가 내세운 대동아 공영권 건설을 위한 일본제국 철도망의 핵심위치에 있던 곳이었습니다.
아시아를 장악하려는 일본 제국주의가 막을 내린지 70여년이 지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본에 이어 중국이 다시금 이 지역에 자신들의 철도망과 도로를 건설하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습니다. 아시아를 넘어 유럽과 아프리카로 자신들의 세력을 펼치려는 중국은 일대일로(One Belt and One Road) 정책의 일환으로 버마와 태국, 말레이 반도에 그들의 철도를 개설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놀랍게도 과거의 영국제국주의 일본제국주의자들이 건설했던 철도망과 그들의 구상이 중국의 것과 일치하고 있습니다.
미얀마의 군부 쿠데타의 배경이 일대일로 정책에 반대하는 아웅산 수치 여사를 제거하기 위한
중국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외신보도도 있습니다. 또한 반대로, 중국의 영향권을 벗어나기 위해 군부 쿠데타를 감행했다는 이야기도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중국 배후설의 사실여부를 떠나 중국의 이 지역에 대한 영향력은 확대되고 있으며 그 핵심 전략 중 하나가 중국과 연결하는 도로와 철도망(송유관)건설에 있음은 틀림없어 보입니다.
그리고 버마전역에서 일본과 연합군 양편에서 협력하고 싸웠던 아버지 아웅산 장군과 중국과 서방사이에서 고민했을 현재의 아웅산 수지 여사의 운명이 묘하게 겹쳐 보입니다.
이 영화는 미국 의회도서관에 영구 보존 작품으로 선정될 정도로 멋진 영화음악과 화려한 출연진, 수려한 영상미를 자랑하고 있지만 영화의 배경이 되는 이 다리는 국가들 간의 세력 확장과 전쟁을 위해 도로와 철도망이 얼마나 중요한지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