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의 본질, 제1세대 전쟁부터 제4세대 전쟁까지 그동안 변화해온 전쟁의 양상, 군사전략에 영향을 미쳐온 지정학과 전략문화, 무기기술, 육지, 바다, 하늘의 지배권을 둘러싼 지상ㆍ해양ㆍ항공전략, 핵시대의 핵전략, 역사 속 비정규전과 비대칭 전략, 그리고 오늘날 북한의 군사적 도발 위협에 맞선 한국의 '신군사전략'까지 고대부터 현대까지 진화해온 군사전략의 모든 것
“군사전략을 배운다는 것은 전쟁이라는 난폭한 스승이 전달하고자 하는 가장 핵심적인 가르침을 깨우치는 작업이다.
군사전략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군사전략 개론서
“전쟁은 심심풀이 삼아 시도해보거나 한낱 승리의 기쁨을 맛보기 위해 치르는 것이 아니며, 무책임한 열정가의 전유물도 아니다. 그것은 신중한(serious)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신중한 수단이다.”
자신이 살았던 시대의 전쟁 경험을 기초로 『전쟁론』을 써서 오늘날에도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프로이센의 군인이자 군사사상가 칼 폰 클라우제비츠의 말이다.
총력전과 핵전쟁이 가능한 시대에 전쟁이 가져올 참화를 생각한다면 억제의 중요성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억제는 실패할 수 있다. 역사상 숱한 전쟁 사례가 이를 입증해준다. 전쟁을 예방하고 억제하려는 노력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전쟁이 불가피하다는 엄연한 현실은 우리로 하여금 전쟁이 발발할 경우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의 문제에 대해 보다 깊이 고민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따라서 ‘억제’가 실패했을 때 어떻게 군사력을 운용해 우리의 생존을 지키고 국가이익을 확보할 것인가의 문제, 즉 군사전략은 아주 중요하다. ‘군사전략’은 군사력을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쟁의 원인이 아닌 전쟁의 과정에 관한 것이며, 전쟁의 ‘억제’가 아니라 ‘전쟁수행’을 다룬다. 즉, 군사전략은 ‘억제’에 실패하여 전쟁이 발발하고 난 후 적과 싸워 승리하기 위한 전략을 연구한다.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투키디데스가 “전쟁은 난폭한 스승이다”라고 말한 것처럼 역사를 들여다보면 ‘전쟁이라는 난폭한 스승’은 ‘군사전략’이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우리에게 많은 가르침을 주고 있다. 역사상 ‘군사적 천재’로 알려진 수많은 전쟁영웅들은 바로 그러한 가르침을 몸소 전장에서 실천한 가장 위대한 스승임에 분명하다. 과거 로마 시대 카르타고의 명장 한니발부터 근대 스웨덴의 구스타브 아돌프,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 프랑스의 나폴레옹, 그리고 현대의 마오쩌둥에 이르기까지 많은 전쟁영웅들은 전장에서 병력을 운용해 승리를 쟁취하는 시공을 뛰어넘는 군사전략적 혜안을 우리에게 주고 있다.
이 책은 군사전략을 이해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전쟁의 본질, 전략이론, 전략사상부터 지상전략, 해양전략, 항공전략, 핵전략, 군사전략에 관한 응용분야라 할 수 있는 전략문화, 지정학, 비정규전, 그리고 한국의 ‘신군사전략’ 등 ‘군사전략’에 관한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다. 나무 하나하나를 들여다보되, 숲 전체까지도 조망할 수 있도록 고대부터 현대까지 진화해온 군사전략에 관한 모든 것을 체계적으로 담은 군사전략 개론서다. 군사학을 연구하는 학생들에게는 이해하기 쉬운 교재로, 일반인들에게는 군사전략을 이해할 수 있는 교양서로, 그리고 군인과 국방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업무에 유용한 지침서가 되기에 충분하다.
오늘날 중국의 군사력 증강이나 중국과 일본의 영토 분쟁, 북한의 핵개발과 핵실험 등 북한 비롯한 한반도 주변국의 군사적 이슈로 시끄러운 요즘, 한국의 군사전략은 물론이고 각 군(육ㆍ해ㆍ공군)의 전략 개념을 발전시키는 데 꼭 필요한 책이다.
저자(글) 박창희
현재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미 해군대학원(Navla Postgraduate School)에서 국가안보 석사 학위를, 고려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아태안보연구소(Asia-Pacific Center for Security Studies)에서 정책연수를 받고,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군사문제연구센터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장, 합참 정책자문위원, 연합사 정책자문위원, 한국국방정책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강의 및 연구 분야는 군사전략, 중국군사, 전쟁 및 전략 등이며, 주요 저서로 『손자병법』(2017), 『중국의 전략문화』(2015), 『군사전략론』(2013), 『현대 중국 전략의 기원』(2011), 『군사사상론』(2014, 공저) 등이 있으며, 연구논문으로는 「북한 핵 상황하 한국의 군사전략」, 「중국의 전략문화와 전쟁수행 방식」, 「중국의 군사」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전쟁의 본질
1. 전쟁이란 무엇인가?
2. 전쟁의 원인
3. 전쟁의 진화
4. 전쟁의 유형
제2장 전략의 개념과 속성
1. 전략의 기원
2. 근대 이전 전략 개념의 발전
3. 근대 이후 전략 개념의 부활과 분화
4. 전략 개념의 재정의 필요성
5. 전략의 개념 정의
제3장 전략의 체계, 유형, 그리고 차원
1. 전략의 체계
2. 전략의 유형
3. 전략의 차원
제4장 전략의 속성과 쟁점
1. 전략은 과학인가, 술인가?
2. 군사전략의 정의: ‘방법’인가, ‘수단’인가?
3. 공격과 방어 1: 왜 방어가 강한가?
4. 공격과 방어 2: 방어의 강함에 대한 반론
5. 중심의 문제: 병력인가, 지역인가?
6. 결전의 문제
제5장 군사전략사상: 손자와 클라우제비츠
1. 동양과 서양의 전략사상
2. 접근방법과 분석수준의 문제
3. 중심(重心, center of gravity)
4. 정보의 가치
5. 전쟁수행: 기만과 기습
6. 후세 해석상의 오류
제6장 지상전략
1. 예방공격과 선제공격 전략
2. 공격전략과 방어전략
3. 소모전략과 기동전략
4. 전차를 이용한 기동전략
5. 간접접근전략
제7장 해양전략
1. 해양전략의 기원
2. 해양과 해군, 그리고 제해권
3. 강대국의 해양전략 1: 머핸의 제해권
4. 강대국의 해양전략 2: 코벳의 해양통제론
5. 약소국의 해양전략: 해양거부론
제8장 항공전략
1. 항공력의 기원
2. 두에의 항공전략
3. 미첼의 항공전략
4. 트렌차드의 항공전략
5. 현대 항공력의 특성
6. 공중우세와 항공력의 본질
제9장 핵전략
1. 핵시대 이전의 억제전략
2. 억제의 조건
3. 냉전기 핵전략
4. 탈냉전기의 핵전략
제10장 전략문화
1. 전략문화의 개념
2. 전략문화 연구의 접근방법: 한계와 가능성
3. 전략문화의 특성
4. 전략문화를 형성하는 요인
5. 각국의 전략문화
제11장 지정학과 군사전략
1. 지정학의 기원
2. 대륙 중심의 지정학
3. 해양 중심의 지정학
4. 항공 중심의 지정학
5. 군사전략적 함의와 지정학의 미래
제12장 무기기술과 군사전략
1. 고대와 중세: 도구의 시대
2. 근대 전기: 화약의 시대
3. 근대 후기: 기계화의 시대
4. 현대: 핵 및 정보화의 시대
5. 무기기술과 전략ㆍ전술
제13장 비대칭전략
1. 개요
2. 비대칭 전략의 개념
3. 비대칭 전략의 구분: 수준, 차원, 유형
4. 비대칭 전략의 실제
5. 비대칭 위협에 대한 대응전략
제14장 비정규전: 제4세대 전쟁과 분란전
1. 제4세대 전쟁의 개념과 특징
2. 분란전 전략
3. 사례 연구: 중국혁명전쟁
4. 대분란전 전략
5. 제4세대 전쟁과 군사전략
제15장 한국의 군사전략
1. 서론
2. 전략 개념과 ‘신 군사전략’: ‘실전 기반 억제’
3. 북한의 국지 도발 대비전략
4. 북한의 전면전 도발 대비전략
5. 북한의 핵위협 대비전략
6. 결론
저자(글) 박창희
현재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미 해군대학원(Navla Postgraduate School)에서 국가안보 석사 학위를, 고려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아태안보연구소(Asia-Pacific Center for Security Studies)에서 정책연수를 받고,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군사문제연구센터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장, 합참 정책자문위원, 연합사 정책자문위원, 한국국방정책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강의 및 연구 분야는 군사전략, 중국군사, 전쟁 및 전략 등이며, 주요 저서로 『손자병법』(2017), 『중국의 전략문화』(2015), 『군사전략론』(2013), 『현대 중국 전략의 기원』(2011), 『군사사상론』(2014, 공저) 등이 있으며, 연구논문으로는 「북한 핵 상황하 한국의 군사전략」, 「중국의 전략문화와 전쟁수행 방식」, 「중국의 군사」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전쟁의 본질
1. 전쟁이란 무엇인가?
2. 전쟁의 원인
3. 전쟁의 진화
4. 전쟁의 유형
제2장 전략의 개념과 속성
1. 전략의 기원
2. 근대 이전 전략 개념의 발전
3. 근대 이후 전략 개념의 부활과 분화
4. 전략 개념의 재정의 필요성
5. 전략의 개념 정의
제3장 전략의 체계, 유형, 그리고 차원
1. 전략의 체계
2. 전략의 유형
3. 전략의 차원
제4장 전략의 속성과 쟁점
1. 전략은 과학인가, 술인가?
2. 군사전략의 정의: ‘방법’인가, ‘수단’인가?
3. 공격과 방어 1: 왜 방어가 강한가?
4. 공격과 방어 2: 방어의 강함에 대한 반론
5. 중심의 문제: 병력인가, 지역인가?
6. 결전의 문제
제5장 군사전략사상: 손자와 클라우제비츠
1. 동양과 서양의 전략사상
2. 접근방법과 분석수준의 문제
3. 중심(重心, center of gravity)
4. 정보의 가치
5. 전쟁수행: 기만과 기습
6. 후세 해석상의 오류
제6장 지상전략
1. 예방공격과 선제공격 전략
2. 공격전략과 방어전략
3. 소모전략과 기동전략
4. 전차를 이용한 기동전략
5. 간접접근전략
제7장 해양전략
1. 해양전략의 기원
2. 해양과 해군, 그리고 제해권
3. 강대국의 해양전략 1: 머핸의 제해권
4. 강대국의 해양전략 2: 코벳의 해양통제론
5. 약소국의 해양전략: 해양거부론
제8장 항공전략
1. 항공력의 기원
2. 두에의 항공전략
3. 미첼의 항공전략
4. 트렌차드의 항공전략
5. 현대 항공력의 특성
6. 공중우세와 항공력의 본질
제9장 핵전략
1. 핵시대 이전의 억제전략
2. 억제의 조건
3. 냉전기 핵전략
4. 탈냉전기의 핵전략
제10장 전략문화
1. 전략문화의 개념
2. 전략문화 연구의 접근방법: 한계와 가능성
3. 전략문화의 특성
4. 전략문화를 형성하는 요인
5. 각국의 전략문화
제11장 지정학과 군사전략
1. 지정학의 기원
2. 대륙 중심의 지정학
3. 해양 중심의 지정학
4. 항공 중심의 지정학
5. 군사전략적 함의와 지정학의 미래
제12장 무기기술과 군사전략
1. 고대와 중세: 도구의 시대
2. 근대 전기: 화약의 시대
3. 근대 후기: 기계화의 시대
4. 현대: 핵 및 정보화의 시대
5. 무기기술과 전략ㆍ전술
제13장 비대칭전략
1. 개요
2. 비대칭 전략의 개념
3. 비대칭 전략의 구분: 수준, 차원, 유형
4. 비대칭 전략의 실제
5. 비대칭 위협에 대한 대응전략
제14장 비정규전: 제4세대 전쟁과 분란전
1. 제4세대 전쟁의 개념과 특징
2. 분란전 전략
3. 사례 연구: 중국혁명전쟁
4. 대분란전 전략
5. 제4세대 전쟁과 군사전략
제15장 한국의 군사전략
1. 서론
2. 전략 개념과 ‘신 군사전략’: ‘실전 기반 억제’
3. 북한의 국지 도발 대비전략
4. 북한의 전면전 도발 대비전략
5. 북한의 핵위협 대비전략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