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중심’의 새로운 시각으로 집대성한 인류 문명 5000년 전쟁의 대서사
‘벨 에포크’라는 프랑스어가 있다. 19세기 말부터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기 전 15년 동안의 ‘좋은 시절(태평성대)’을 가리키는 말이다. 미국의 철학자이자 사학자인 윌 듀런트는 『윌 듀런트의 역사의 교훈』에서 역사에 기록된 3421년 동안 전쟁이 없었던 해는 단 268년으로, 전체의 7.8%에 불과하다고 분석했다. 인류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라 해도 무방하다.
『전쟁의 역사』는 기원전 30세기부터 기원후 21세기까지 동양과 서양의 전쟁사와 군사사를 집대성했다. 이 책은 “전쟁은 인간 공동체의 상호작용에 의한 보편적 활동”이라는 시각 아래 전쟁을 경험하는 인간과 사회, 전쟁과 문화, 전쟁이 사회에 미친 영향 등 다양한 역사 요소를 망라해 서술한다. 이런 점에서 전쟁을 단순히 군대와 군사의 전략ㆍ전술로 기술한 전쟁사 책들과 대비된다.
많은 전쟁은 화약 사용과 신무기 개발 등 군사혁명에 기대어 발전해 왔지만,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이나 가자지구 전쟁에서 보듯이 군사 효율성을 높이는 것만으로는 수시로 변화하는 전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살아 있는 인간의 의지와 의지가 대결하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전쟁은 그 자체가 시시각각 변화하고, 그러한 변화에 대한 예측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전쟁의 역사』는 역사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누구나 흥미롭게 읽을 수 있도록 시대별 전쟁 양상의 변화를 살피고, 이를 통해 시대를 관통하는 전쟁사의 흐름을 이해하게 해준다.
저자(글) 기세찬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사학과에서 역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저서로 『고대 중국의 전쟁수행방식과 군사사상』, 『중일전쟁과 중국의 대일군사전략(1937~1945)』, 번역서로 『하버드 중국사 청: 중국 최후의 제국』, 『중일전쟁: 역사가 망각한 그들(1937~1945)』(공역), 주요 연구 논문으로 「중국 지도자들의 전략문화 인식에 관한 연구」, 「중일전쟁시기 국민정부의 전시동원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중국의 전쟁사와 군사사상 등이다.
저자(글) 나종남
육군사관학교 군사사학과 교수.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미국 현대사와 냉전 연구, 군사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군사작전을 통해 본 6.25전쟁』, 『대한민국 만들기, 1945~1987』(번역), 『군사전략 입문』(번역), 「한국전쟁 중 한국 육군의 재편성과 증강, 1951~53」, 「백마고지 전투의 재조명」 등이 있다. 한국아메리카학회, 한국군사사학회, 한국전쟁학회 등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한국전쟁, 냉전시기 군사사, 한국군 역사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자(글) 박동휘
육군3사관학교 군사사학과 교수. 육군사관학교에서 군사사를 전공한 후, 연세대학교 사학과(서양사)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전쟁사를 기반으로 국가의 사이버전 전략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사이버전의 모든 것』, 『전쟁영웅들의 멘토, 천재전략가 마셜』(공역) 등이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사이버전과 하이브리드전쟁 등에 관한 현재와 미래의 전쟁, 그리고 6.25전쟁과 서양 전쟁사 등이다.
저자(글) 박영준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교수. 일본 도쿄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 박사를 받았으며, 미국 하버드대학교 웨더헤드센터에서 방문학자로 미일 관계를 연구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일본 정치외교, 동아시아 국제관계, 전쟁과 평화 등이며, 주요 저서로 『해군의 탄생과 근대 일본』, 『제국 일본의 전쟁, 1868~1945』, 『제3의 일본』, 『한국 국가안보전략의 전개와 과제』, 『현대의 전쟁과 전략』(편저), 『21세기 한반도 평화연구의 쟁점과 전망』(편저) 등이 있다. 현대일본학회, 한국평화학회, 한국정치외교사학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대통령실 NSC, 외교부, 한미연합사, 해군 등의 정책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저자(글) 반기현
육군사관학교 군사사학과 교수. 영국 킹스칼리지런던에서 로마제국 군대와 군사전략에 관한 연구로 서양고전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Aurelian’s Military Reforms and the Power Dynamics of the Near East」, 「군사전략으로 본 원수정기 로마의 반(反)파르티아 프로파간다」 등이 있다. 현재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총무이사와 The East Asian Journal of Classical Studies의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로마제국의 브리타니아 속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자(글) 심호섭
육군사관학교 군사사학과 교수. 육군사관학교와 일본 와세다대학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미국 캔자스대학교에서 군사사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Journey to Equality: The Establish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Republic of Korea Forces in the Vietnam War」, 「The Battle of An Khe Pass (1972): The Implications of the South Korean Army’s Pyrrhic Victory in the Vietnamization Phase of the Vietnam War」, 「주월 한국군의 중대전술기지 운용이 지닌 이상과 현실: 둑꼬 전투(1966)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현재 전쟁과 역사를 다루는 국방TV의 ‘역전다방’에 고정 멤버로 출연 중이며,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수행 등 근현대 전반에 걸쳐 군사사, 전쟁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자(글) 이근욱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국제정치이론 및 군사동맹에 대한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단독 저서로 『왈츠 이후: 국제정치이론의 변화와 발전』, 『냉전: 20세기 후반의 국제정치』, 『쿠바 미사일 위기: 냉전기간 가장 위험한 순간』, 『이라크전쟁: 부시의 침공에서 오바마의 철군, 그리고 IS 전쟁까지』, 『아프가니스탄전쟁: 9.11 테러 이후 20년』 등이 있다.
저자(글) 이내주
한국군사문제연구원 군사사연구실장 및 육군사관학교 군사사학과 명예교수.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서강대학교 사학과에서 석사, 영국 서식스대학교에서 영국 근현대사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마쳤다. 영국사학회 회장, 한국연구재단 책임전문위원, 학술지 『서양사론』 및 『군사연구』 편집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영국 과학기술교육과 산업발전, 1850∼1945』, 『전쟁과 무기의 세계사』, 『군신의 다양한 얼굴』, 『영웅, 그들이 만든 세계사』, 『전쟁과 문명』(공저) 등이 있으며, 이외에 다양한 연구논문들이 있다.
저자(글) 이용재
전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에서 학사·석사 과정 후 프랑스 파리1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프랑스사학회 회장, 한국서양사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유럽 정치사회사 전반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함께 쓰는 역사』(공저), 『프랑스의 열정: 공화국과 공화주의』(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아메리카의 민주주의』, 『소유란 무엇인가』 등이 있다.
저자(글) 홍용진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고려대학교 사학과에서 학사·석사 과정 후 프랑스 팡테옹소르본 파리 1대학교에서 14세기 정치문화사에 대한 연구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14세기 전반기 프랑스의 정치현실과 공공성」, 「정치와 언어-14세기 전반기 초기 발루아 왕조의 언어전략」, 「백년전쟁과 왕국의 개혁, 그리고 정치체에 대한 권리: 14세기 정치적 담론장 파리를 중심으로」 등이 있으며, 「13세기 말∼14세기 초 프랑스 왕권 이미지 생산」으로 제3회 역사학회 논문상(2014)을 수상하였다. 중세 말~근대 초 서유럽 근대국가 발생 문제를 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의 차원에서 다각도로 연구하고 있다.
목차
서문
1장 서양 고대 세계의 전쟁(기원전 30세기~기원후 5세기)
Ⅰ. 서양 고대 세계 개관
Ⅱ. 전쟁 양상의 변화와 그 원동력
Ⅲ. 고대 서양의 대표적인 전쟁
1. 이집트-히타이트 전쟁: 카데시 전투(BC 1275경)
2. 페르시아전쟁(BC 490~BC 479)
3. 펠로폰네소스전쟁(BC 431~BC 404)
4. 알렉산드로스의 전쟁(BC 334~BC 324)
5. 포에니전쟁(BC 264~BC 146)
6. 파르티아/페르시아 전쟁과 전략
2장 서양 중세 세계의 전쟁(기원후 5세기~15세기)
Ⅰ. 서양 중세 세계 개관
Ⅱ. 전쟁 양상의 변화와 그 원동력
Ⅲ. 중세 서양의 대표적인 전쟁
1. 프랑크 vs 우마이야 전쟁: 투르 전투(732)
2. 노르만 vs 앵글로-색슨 전쟁: 헤이스팅스 전투(1066)
3. 십자군전쟁(11세기 말~13세기)
4. 백년전쟁(1337~1453)
3장 고·중세 동양의 전쟁(기원전 7세기~기원후 13세기)
Ⅰ. 춘추전국시대의 전쟁
1. 주의 군사제도
2. 성복 전투
3. 진의 통일전쟁
Ⅱ. 한-흉노 전쟁
1. 전쟁의 배경
2. 한의 군사제도
3. 전쟁 경과
Ⅲ. 당의 대외 전쟁
1. 당의 건국
2. 당의 군사제도
3. 당의 영토 확장
Ⅳ. 송과 요(거란)의 전쟁
1. 전쟁의 배경
2. 송과 요의 군대
3. 전쟁 경과
Ⅴ. 몽골 제국의 정복 전쟁
1. 칭기즈칸과 몽골 제국의 성립
2. 몽골군의 편성과 훈련
3. 호라즘 원정
4. 유럽 원정
4장 화약전쟁의 시대와 유럽의 변화(1500년~1720년)
Ⅰ. 16세기 유럽, 르네상스와 종교전쟁
1. 전쟁에서 전쟁으로
2. 화약 혁명과 전쟁의 변모
3. 용병들의 전쟁
4. 잉글랜드와 네덜란드의 성장
[사례 연구] 근대 초 유럽의 ‘군사혁명’
Ⅱ. 17세기 유럽, 절대주의와 왕조 전쟁
1. 30년전쟁
2. 스웨덴의 흥기, ‘북방의 사자’ 구스타브 아돌프
[사례 연구] 브라이텐펠트 전투
3. 바다의 패권: 잉글랜드-네덜란드 전쟁(1652~1674)
4. 프랑스의 부상과 상비군 시대
5장 전쟁과 혁명의 시대(1720년~1815년)
Ⅰ. 18세기 유럽의 격동
1. 유럽의 세력균형과 프로이센의 대두
2. 전열보병(戰列步兵) 시대
[사례 연구] 퐁트누아 전투
Ⅱ. 혁명과 전쟁의 서사시
1. 미국독립전쟁
2. 프랑스혁명전쟁
3. 나폴레옹전쟁
4. 나폴레옹 제국의 몰락
[사례 연구] 조미니가 본 워털루 전투
6장 산업화 시대의 전쟁(1815년~1914년)
Ⅰ. 19세기 유럽 개관
Ⅱ. 전쟁 양상의 변화와 그 원동력
1. 전쟁 방식: 전쟁의 소프트웨어 측면
2. 전쟁 수단: 전쟁의 하드웨어 측면
Ⅲ. 대표적인 결전
1. 크림전쟁(세바스토폴 전투)
2. 미국 남북전쟁(게티즈버그 전투)
3.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스당 전투)
4. 제국주의 전쟁 사례(옴두르만 전투)
Ⅳ. 19세기의 전쟁사적 의미
7장 동아시아의 전쟁(16세기 이후)
Ⅰ. 동아시아 각국의 군사체제와 국제질서 변화
Ⅱ. 임진왜란
1.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대륙 침략 계획
2. 개전 초기 전황
3. 조선의 반격과 명나라 원군 파견
4. 강화 추진과 장기전 태세
5. 정유재란과 강화
Ⅲ.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1. 여진족(만주족)의 흥기와 광해군의 외교
2. 인조의 반후금 정책 전환과 정묘호란
3. 병자호란
Ⅳ. 청일전쟁
1. 배경과 원인
2. 초기 경과
3. 전쟁의 제한과 시모노세키 강화조약
Ⅴ. 러일전쟁
1. 배경과 원인
2. 초기 전쟁 상황
3. 펑톈 전투와 쓰시마 해전
4. 포츠머스 강화조약
8장 제1차 세계대전(1914년~1918년)
Ⅰ. 배경과 전쟁 발발
Ⅱ. 개전과 초기 전투
1. 국경선 전투
2. 동부전선의 전황
Ⅲ. 1915~1916년 전황
1. 장기화되는 전쟁
2. 베르됭 전투
3. 솜 전투
Ⅳ. 1917~1918년 전황과 종전
1. 미국의 참전과 니벨 공세의 실패
2. 종전으로 가는 길
[사례 연구] 제1차 세계대전 중 해전
[사례 연구] 제1차 세계대전 중 공중전
Ⅴ. 전쟁의 영향
9장 제2차 세계대전(1939년~1945년)
Ⅰ. 추축국의 대두와 전쟁으로의 길
Ⅱ. 추축국의 공세와 연합국의 위기(1940~1941)
1. 독일의 공세와 프랑스의 몰락
2. 영국의 위기와 독일의 소련 침공
3. 일본의 공세와 미국의 참전
Ⅲ. 전세의 역전(1942~1943)
1. 북아프리카 전역과 독소전쟁의 전황
2. 태평양전쟁의 역전된 전세
Ⅳ. 연합국의 공세와 추축국의 항복(1943~1945)
1. 유럽 전선의 연합군의 반격
2. 소련의 진격과 베를린 함락
3. 미국의 공세와 일본의 패망
Ⅴ. 연합국의 승리 요인과 제2차 세계대전의 의의
10장 냉전 시기의 전쟁(1946년~1989년)
Ⅰ. 적대적 양극체제의 형성
1. 냉전의 태동
2. 고착되는 양극체제
Ⅱ. 핵무기의 등장과 군비 경쟁
1. 미국과 소련의 냉전 대결
2. 핵 억제를 위한 국제사회의 대응
Ⅲ. 아시아의 냉전과 한국전쟁
1. 중국 대륙의 공산화
2. 6.25전쟁(한국전쟁)
Ⅳ. 아시아의 탈식민지화와 베트남전쟁
1. 동남아시아에 대한 미국의 정책 변화
2. 베트남전쟁
3. 중동에서의 냉전
Ⅴ. 평화공존과 데탕트, 그리고 위기 고조
Ⅵ. 냉전의 붕괴
11장 탈냉전기의 전쟁(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돈바스와 크림 반도 전쟁)
Ⅰ. 냉전 종식과 일극체제의 부침
Ⅱ. 전쟁의 변화와 탈냉전기 군사기술의 변화
1. 초기 단계의 ICT 혁명
2. 낮은 수준의 도발과 군사력 사용
Ⅲ. 미국의 아프가니스탄전쟁
1. 9.11 테러와 아프가니스탄 침공
2. 아프가니스탄 국가 건설의 실패
3. 오바마의 아프가니스탄전쟁
4. 양귀비와 아편, 그리고 마약 전쟁
5. 트럼프의 아프가니스탄전쟁
6. 바이든의 완전 철군과 카불 함락
Ⅳ. 미국의 이라크전쟁
1. 이라크 침공과 초기 단계의 난맥상
2. 국가 건설과 종파 내전
3. 아랍의 봄과 IS의 등장
Ⅴ. 러시아의 돈바스와 크리미아 반도 침공
1. 푸틴 정권과 러시아의 대외 팽창
2. 저강도 크림반도 침공
3. 돈바스전쟁
4.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위협
Ⅵ. 맺음말: 탈냉전기 전쟁의 의미
12장 21세기 전쟁과 미래 전쟁(사이버, 로봇(드론), AI)
Ⅰ. 4차 산업혁명과 전쟁
Ⅱ. 사이버전
1. 사이버공간의 탄생
2. 사이버전의 이해
3. 주요 사이버전 사례
[사례 연구]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사이버전
Ⅲ. 로봇과 드론전
1. 로봇의 어원과 현대적 의미
2. 전장에서의 로봇: 무인운송체(UV)
3.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Ⅳ. 인공지능(AI)과 미래 전쟁
1. 인공지능의 역사와 이해
2. 인공지능의 군사적 활용
Ⅴ. 맺음말 608
저자(글) 기세찬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사학과에서 역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저서로 『고대 중국의 전쟁수행방식과 군사사상』, 『중일전쟁과 중국의 대일군사전략(1937~1945)』, 번역서로 『하버드 중국사 청: 중국 최후의 제국』, 『중일전쟁: 역사가 망각한 그들(1937~1945)』(공역), 주요 연구 논문으로 「중국 지도자들의 전략문화 인식에 관한 연구」, 「중일전쟁시기 국민정부의 전시동원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중국의 전쟁사와 군사사상 등이다.
저자(글) 나종남
육군사관학교 군사사학과 교수.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미국 현대사와 냉전 연구, 군사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군사작전을 통해 본 6.25전쟁』, 『대한민국 만들기, 1945~1987』(번역), 『군사전략 입문』(번역), 「한국전쟁 중 한국 육군의 재편성과 증강, 1951~53」, 「백마고지 전투의 재조명」 등이 있다. 한국아메리카학회, 한국군사사학회, 한국전쟁학회 등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한국전쟁, 냉전시기 군사사, 한국군 역사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자(글) 박동휘
육군3사관학교 군사사학과 교수. 육군사관학교에서 군사사를 전공한 후, 연세대학교 사학과(서양사)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전쟁사를 기반으로 국가의 사이버전 전략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사이버전의 모든 것』, 『전쟁영웅들의 멘토, 천재전략가 마셜』(공역) 등이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사이버전과 하이브리드전쟁 등에 관한 현재와 미래의 전쟁, 그리고 6.25전쟁과 서양 전쟁사 등이다.
저자(글) 박영준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교수. 일본 도쿄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 박사를 받았으며, 미국 하버드대학교 웨더헤드센터에서 방문학자로 미일 관계를 연구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일본 정치외교, 동아시아 국제관계, 전쟁과 평화 등이며, 주요 저서로 『해군의 탄생과 근대 일본』, 『제국 일본의 전쟁, 1868~1945』, 『제3의 일본』, 『한국 국가안보전략의 전개와 과제』, 『현대의 전쟁과 전략』(편저), 『21세기 한반도 평화연구의 쟁점과 전망』(편저) 등이 있다. 현대일본학회, 한국평화학회, 한국정치외교사학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대통령실 NSC, 외교부, 한미연합사, 해군 등의 정책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저자(글) 반기현
육군사관학교 군사사학과 교수. 영국 킹스칼리지런던에서 로마제국 군대와 군사전략에 관한 연구로 서양고전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Aurelian’s Military Reforms and the Power Dynamics of the Near East」, 「군사전략으로 본 원수정기 로마의 반(反)파르티아 프로파간다」 등이 있다. 현재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총무이사와 The East Asian Journal of Classical Studies의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로마제국의 브리타니아 속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자(글) 심호섭
육군사관학교 군사사학과 교수. 육군사관학교와 일본 와세다대학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미국 캔자스대학교에서 군사사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Journey to Equality: The Establish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Republic of Korea Forces in the Vietnam War」, 「The Battle of An Khe Pass (1972): The Implications of the South Korean Army’s Pyrrhic Victory in the Vietnamization Phase of the Vietnam War」, 「주월 한국군의 중대전술기지 운용이 지닌 이상과 현실: 둑꼬 전투(1966)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현재 전쟁과 역사를 다루는 국방TV의 ‘역전다방’에 고정 멤버로 출연 중이며,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수행 등 근현대 전반에 걸쳐 군사사, 전쟁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자(글) 이근욱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국제정치이론 및 군사동맹에 대한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단독 저서로 『왈츠 이후: 국제정치이론의 변화와 발전』, 『냉전: 20세기 후반의 국제정치』, 『쿠바 미사일 위기: 냉전기간 가장 위험한 순간』, 『이라크전쟁: 부시의 침공에서 오바마의 철군, 그리고 IS 전쟁까지』, 『아프가니스탄전쟁: 9.11 테러 이후 20년』 등이 있다.
저자(글) 이내주
한국군사문제연구원 군사사연구실장 및 육군사관학교 군사사학과 명예교수.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서강대학교 사학과에서 석사, 영국 서식스대학교에서 영국 근현대사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마쳤다. 영국사학회 회장, 한국연구재단 책임전문위원, 학술지 『서양사론』 및 『군사연구』 편집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영국 과학기술교육과 산업발전, 1850∼1945』, 『전쟁과 무기의 세계사』, 『군신의 다양한 얼굴』, 『영웅, 그들이 만든 세계사』, 『전쟁과 문명』(공저) 등이 있으며, 이외에 다양한 연구논문들이 있다.
저자(글) 이용재
전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에서 학사·석사 과정 후 프랑스 파리1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프랑스사학회 회장, 한국서양사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유럽 정치사회사 전반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함께 쓰는 역사』(공저), 『프랑스의 열정: 공화국과 공화주의』(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아메리카의 민주주의』, 『소유란 무엇인가』 등이 있다.
저자(글) 홍용진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고려대학교 사학과에서 학사·석사 과정 후 프랑스 팡테옹소르본 파리 1대학교에서 14세기 정치문화사에 대한 연구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14세기 전반기 프랑스의 정치현실과 공공성」, 「정치와 언어-14세기 전반기 초기 발루아 왕조의 언어전략」, 「백년전쟁과 왕국의 개혁, 그리고 정치체에 대한 권리: 14세기 정치적 담론장 파리를 중심으로」 등이 있으며, 「13세기 말∼14세기 초 프랑스 왕권 이미지 생산」으로 제3회 역사학회 논문상(2014)을 수상하였다. 중세 말~근대 초 서유럽 근대국가 발생 문제를 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의 차원에서 다각도로 연구하고 있다.
목차
서문
1장 서양 고대 세계의 전쟁(기원전 30세기~기원후 5세기)
Ⅰ. 서양 고대 세계 개관
Ⅱ. 전쟁 양상의 변화와 그 원동력
Ⅲ. 고대 서양의 대표적인 전쟁
1. 이집트-히타이트 전쟁: 카데시 전투(BC 1275경)
2. 페르시아전쟁(BC 490~BC 479)
3. 펠로폰네소스전쟁(BC 431~BC 404)
4. 알렉산드로스의 전쟁(BC 334~BC 324)
5. 포에니전쟁(BC 264~BC 146)
6. 파르티아/페르시아 전쟁과 전략
2장 서양 중세 세계의 전쟁(기원후 5세기~15세기)
Ⅰ. 서양 중세 세계 개관
Ⅱ. 전쟁 양상의 변화와 그 원동력
Ⅲ. 중세 서양의 대표적인 전쟁
1. 프랑크 vs 우마이야 전쟁: 투르 전투(732)
2. 노르만 vs 앵글로-색슨 전쟁: 헤이스팅스 전투(1066)
3. 십자군전쟁(11세기 말~13세기)
4. 백년전쟁(1337~1453)
3장 고·중세 동양의 전쟁(기원전 7세기~기원후 13세기)
Ⅰ. 춘추전국시대의 전쟁
1. 주의 군사제도
2. 성복 전투
3. 진의 통일전쟁
Ⅱ. 한-흉노 전쟁
1. 전쟁의 배경
2. 한의 군사제도
3. 전쟁 경과
Ⅲ. 당의 대외 전쟁
1. 당의 건국
2. 당의 군사제도
3. 당의 영토 확장
Ⅳ. 송과 요(거란)의 전쟁
1. 전쟁의 배경
2. 송과 요의 군대
3. 전쟁 경과
Ⅴ. 몽골 제국의 정복 전쟁
1. 칭기즈칸과 몽골 제국의 성립
2. 몽골군의 편성과 훈련
3. 호라즘 원정
4. 유럽 원정
4장 화약전쟁의 시대와 유럽의 변화(1500년~1720년)
Ⅰ. 16세기 유럽, 르네상스와 종교전쟁
1. 전쟁에서 전쟁으로
2. 화약 혁명과 전쟁의 변모
3. 용병들의 전쟁
4. 잉글랜드와 네덜란드의 성장
[사례 연구] 근대 초 유럽의 ‘군사혁명’
Ⅱ. 17세기 유럽, 절대주의와 왕조 전쟁
1. 30년전쟁
2. 스웨덴의 흥기, ‘북방의 사자’ 구스타브 아돌프
[사례 연구] 브라이텐펠트 전투
3. 바다의 패권: 잉글랜드-네덜란드 전쟁(1652~1674)
4. 프랑스의 부상과 상비군 시대
5장 전쟁과 혁명의 시대(1720년~1815년)
Ⅰ. 18세기 유럽의 격동
1. 유럽의 세력균형과 프로이센의 대두
2. 전열보병(戰列步兵) 시대
[사례 연구] 퐁트누아 전투
Ⅱ. 혁명과 전쟁의 서사시
1. 미국독립전쟁
2. 프랑스혁명전쟁
3. 나폴레옹전쟁
4. 나폴레옹 제국의 몰락
[사례 연구] 조미니가 본 워털루 전투
6장 산업화 시대의 전쟁(1815년~1914년)
Ⅰ. 19세기 유럽 개관
Ⅱ. 전쟁 양상의 변화와 그 원동력
1. 전쟁 방식: 전쟁의 소프트웨어 측면
2. 전쟁 수단: 전쟁의 하드웨어 측면
Ⅲ. 대표적인 결전
1. 크림전쟁(세바스토폴 전투)
2. 미국 남북전쟁(게티즈버그 전투)
3.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스당 전투)
4. 제국주의 전쟁 사례(옴두르만 전투)
Ⅳ. 19세기의 전쟁사적 의미
7장 동아시아의 전쟁(16세기 이후)
Ⅰ. 동아시아 각국의 군사체제와 국제질서 변화
Ⅱ. 임진왜란
1.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대륙 침략 계획
2. 개전 초기 전황
3. 조선의 반격과 명나라 원군 파견
4. 강화 추진과 장기전 태세
5. 정유재란과 강화
Ⅲ.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1. 여진족(만주족)의 흥기와 광해군의 외교
2. 인조의 반후금 정책 전환과 정묘호란
3. 병자호란
Ⅳ. 청일전쟁
1. 배경과 원인
2. 초기 경과
3. 전쟁의 제한과 시모노세키 강화조약
Ⅴ. 러일전쟁
1. 배경과 원인
2. 초기 전쟁 상황
3. 펑톈 전투와 쓰시마 해전
4. 포츠머스 강화조약
8장 제1차 세계대전(1914년~1918년)
Ⅰ. 배경과 전쟁 발발
Ⅱ. 개전과 초기 전투
1. 국경선 전투
2. 동부전선의 전황
Ⅲ. 1915~1916년 전황
1. 장기화되는 전쟁
2. 베르됭 전투
3. 솜 전투
Ⅳ. 1917~1918년 전황과 종전
1. 미국의 참전과 니벨 공세의 실패
2. 종전으로 가는 길
[사례 연구] 제1차 세계대전 중 해전
[사례 연구] 제1차 세계대전 중 공중전
Ⅴ. 전쟁의 영향
9장 제2차 세계대전(1939년~1945년)
Ⅰ. 추축국의 대두와 전쟁으로의 길
Ⅱ. 추축국의 공세와 연합국의 위기(1940~1941)
1. 독일의 공세와 프랑스의 몰락
2. 영국의 위기와 독일의 소련 침공
3. 일본의 공세와 미국의 참전
Ⅲ. 전세의 역전(1942~1943)
1. 북아프리카 전역과 독소전쟁의 전황
2. 태평양전쟁의 역전된 전세
Ⅳ. 연합국의 공세와 추축국의 항복(1943~1945)
1. 유럽 전선의 연합군의 반격
2. 소련의 진격과 베를린 함락
3. 미국의 공세와 일본의 패망
Ⅴ. 연합국의 승리 요인과 제2차 세계대전의 의의
10장 냉전 시기의 전쟁(1946년~1989년)
Ⅰ. 적대적 양극체제의 형성
1. 냉전의 태동
2. 고착되는 양극체제
Ⅱ. 핵무기의 등장과 군비 경쟁
1. 미국과 소련의 냉전 대결
2. 핵 억제를 위한 국제사회의 대응
Ⅲ. 아시아의 냉전과 한국전쟁
1. 중국 대륙의 공산화
2. 6.25전쟁(한국전쟁)
Ⅳ. 아시아의 탈식민지화와 베트남전쟁
1. 동남아시아에 대한 미국의 정책 변화
2. 베트남전쟁
3. 중동에서의 냉전
Ⅴ. 평화공존과 데탕트, 그리고 위기 고조
Ⅵ. 냉전의 붕괴
11장 탈냉전기의 전쟁(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돈바스와 크림 반도 전쟁)
Ⅰ. 냉전 종식과 일극체제의 부침
Ⅱ. 전쟁의 변화와 탈냉전기 군사기술의 변화
1. 초기 단계의 ICT 혁명
2. 낮은 수준의 도발과 군사력 사용
Ⅲ. 미국의 아프가니스탄전쟁
1. 9.11 테러와 아프가니스탄 침공
2. 아프가니스탄 국가 건설의 실패
3. 오바마의 아프가니스탄전쟁
4. 양귀비와 아편, 그리고 마약 전쟁
5. 트럼프의 아프가니스탄전쟁
6. 바이든의 완전 철군과 카불 함락
Ⅳ. 미국의 이라크전쟁
1. 이라크 침공과 초기 단계의 난맥상
2. 국가 건설과 종파 내전
3. 아랍의 봄과 IS의 등장
Ⅴ. 러시아의 돈바스와 크리미아 반도 침공
1. 푸틴 정권과 러시아의 대외 팽창
2. 저강도 크림반도 침공
3. 돈바스전쟁
4.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위협
Ⅵ. 맺음말: 탈냉전기 전쟁의 의미
12장 21세기 전쟁과 미래 전쟁(사이버, 로봇(드론), AI)
Ⅰ. 4차 산업혁명과 전쟁
Ⅱ. 사이버전
1. 사이버공간의 탄생
2. 사이버전의 이해
3. 주요 사이버전 사례
[사례 연구]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사이버전
Ⅲ. 로봇과 드론전
1. 로봇의 어원과 현대적 의미
2. 전장에서의 로봇: 무인운송체(UV)
3.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Ⅳ. 인공지능(AI)과 미래 전쟁
1. 인공지능의 역사와 이해
2. 인공지능의 군사적 활용
Ⅴ. 맺음말 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