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선즈화 교수는 국제냉전사, 소련사, 중소관계사, 중북관계에서 중국을 대표하는 교수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책은 아시아에서의 냉전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탐구하면서, 그 시작을 한반도에 그어진 38선으로 하고 있다.
이 책의 내용을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부분은 한반도와 관련된 38선의 유래, 38선의 작용, 한국전쟁 발발 등 세 편의 내용을 담고 있다. 두 번째 부분은 소련의 국가이익의 입장에서 본 한국전쟁에 관련된 내용이다. 중소조약체결이후 스탈린은 극동지역에서의 소련의 이익을 확보하기 위하여 김일성의 한국전쟁을 일으키는 것에 동의했다고 저자는 주장하고 있다. 세 번째 부분은 미국의 한국전쟁에서의 전략적 선택에 관련된 내용이다. 저자는 미국의 참전정책결정과정을 시간대로 상세하게 기술하고 분석 했고, 미국은 중국이 참전하지 않을 것이라 판단하고 38선 이북으로 진격했다고 했다. 네 번째 부분은 한국전쟁에서 중국의 참전과정에 대한 내용이다. 저자는 중국은 애초 김일성이 전쟁을 일으키는 것을 동의하지 않았지만 중국동북지역의 안정, 소련과의 관계, 마오쩌둥의 아시아혁명에서의 영도적 지위 등 복합적인 이유 때문에 불리한 상황이지만 참전을 결정했다고 주장한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일본과 미국의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의 체결과 한국전쟁 정전협상의 관계를 서술하고, 50년, 70년이 지난 시점에 한국전쟁의 출병과정, 전개과정에서의 중국의 정책결정을 평가 서술했다
이 책에서 선즈화 교수는 소련의 기밀해제 된 수많은 문서기록, 미국의 문서와 중국의 기록물 등 여러 나라의 기록과 연구를 바탕으로 비교적 역사적 사실에 접근한 한국전쟁 나아가 아시아에서의 냉전의 전개과정을 밝히려 했다. 한국전쟁의 정전협정이 체결된 지도 이미 70년이 되었다. 중국학자가 한국전쟁을 아시아의 냉전이라는 관점에서 서술한 이 책은 동북아지역의 오늘날 국제관계의 형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꼭 읽어보면 좋은 책이라고 생각한다.
저자(글) 선즈화
沈志華, Shen Zhihua
중국의 저명한 역사학자로서 화둥사범대학 종신교수이며 화둥사범대학 냉전사연구센터 센터장이다. 동시에 싱크탱크 태화(太和)의 고급연구원, 중국사회과학원 아태연구소 겸임연구원, 중국사학회 이사, 홍콩중문대학 중국당대문화연구센터 명예연구원, 북경대학 역사학과 겸임연구원, 중국인민대학 역사학과 겸임연구원, 홍콩대학 명예연구원, 미국의 우드로웰슨센터 선임연구원이기도 하다. 주요 연구분야는 국제냉전사, 소련사, 중소관계사, 중북관계 등이다. 한국에 이미 번역 출판된 책으로는 『최후의 천조』, 『조선전쟁의 재탐구』, 『마오쩌뚱 스탈린과 조선전쟁』 등이 있다.
번역 김국헌
金國憲, Jin Guoxian
중국 연변에서 태어났고 연변대학교를 졸업한 이후 한국에 유학 왔다. 이후 숭실대학교에서 한국사를 공부했고,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에서 『한국의 스포츠적 근대-조선체육회의 연속과 단절』로 한국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국의 연변대학 조선한국학센터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고, 코리아노폰 연구센터의 해외 연구이사이기도 하다. 한반도 분단 문제에 관심을 갖고 한반도평화포럼과 같은 싱크탱크의 활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현재 한국과 중국학자들의 지식을 서로에게 전달하는 ‘지식의 전달자’가 되는 것을 꿈꾸고 있다.
목차
38선의 유래
38선의 역사적 작용
한국전쟁 발발의 역사적 진실 - 새로운 러시아 기밀 해제 문서를 중심으로
김일성의 적극적인 전쟁 획책
스탈린의 전쟁계획 참여
마오쩌둥은 기성사실을 받아들이다
소련과 북한이 연합하여 침공을 개시
중소조약과 소련의 극동에서의 전략목표
국제정세의 변화
정책결정 형성의 전제
정책결정을 바꾼 동기
정책결정을 보증하는 조건
극동에서 소련의 전략이익을 보장 - 한국전쟁 발발 원인과 스탈린의 정책결정의 동기
애치슨 연설이 스탈린의 신경을 건드렸을까?
소련대표는 왜 안보리에 돌아가지 않았을까?
스탈린은 정말로 아시아혁명을 추진했을까?
스탈린의 진짜 목적은 무엇이었을까?
미국은 한국전쟁에 어떻게 개입하게 되었을까? 그 과정과 근거
38선을 넘다 - 미국이 한국전쟁을 확대한 전략적 결정
38선을 넘는 문제의 제기와 이에 대한 논쟁
전쟁 상황의 변화가 정치적 결정을 추동
미국의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친 요소들
중국의 한반도 출병의 정책결정 과정
중국은 한반도 충돌에 개입할 의지가 없었다
전쟁 초기 군사방어전략
마오쩌둥의 네 차례 출병결심
중국영도자의 심층 우려
항미원조전쟁 정책결정에 있어서의 소련 요소
38선을 넘는 정책결정
스탈린의 분규조정
유엔 제안의 거절
정전협상제안의 제기
협상과정에서 스탈린의 마오에 대한 지지
마오가 모스크바의 지휘를 수용
항미원조전쟁에서의 소련공군
한국전쟁 초기 소련공군출동 문제에 대한 재고찰 - 러시아연방 국방부 기밀 해제 문서를 기초로
스탈린은 소련공군의 동원을 보증했다
모스크바는 중국의 출병을 급해하지 않았다
김일성은 국제적인 공군원조를 기대했다
마오쩌둥은 급히 한반도에 출병하여 원조하려 했다
스탈린이 지원군에게 공중엄호를 제공하는 것을 거절하다
소련공군이 압록강을 넘어 전투에 투입되다
스탈린, 마오쩌둥과 한국전쟁 재논의 - 러시아 문서 기록의 최신 증거에 근거하여
1949년 중국과 소련이 한국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의 공통된 입장
두 번째 조선인부대의 귀국 경과
소련대표는 왜 제때에 안보리에 돌아가지 않은 것일까
중국이 한반도에 출병하는 정책결정의 복잡한 과정
소련이 공군을 출동하여 한반도에서 작전하는 것을 거절한 원인
대일강화와 한반도정전협상
한국전쟁상황의 변화와 미ㆍ소강화방침의 대항
미국은 대일강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정전협상을 지연했다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과 중국, 소련의 정전협상에서의 강경한 입장
중국의 한반도 출병 정책결정에서의 시비와 득실을 논하다 - 50년 뒤 한국전쟁의 역사적 고찰과 반성
중국이 하는 수 없이 한반도에 출병하게 된 합리적 동기
마오쩌둥은 현실을 넘어선 전략방침을 설정했다
동일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지불한 여분의 대가
위기가 닥쳤을 때의 선택 - 한국전쟁에서의 중국의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논평
한국전쟁의 발발을 지지한 정책결정 과정
출병하여 북한을 원조하는 정책결정의 과정에 대하여
유엔의 정전 제안을 거절한 정책결정에 대하여
한국전쟁 정전협상방침에 관련된 정책결정
한국전쟁 기간동안 중국의 정책결정에 대한 평가
부록/ 주요 외국인 이름 번역 대조표
저자(글) 선즈화
沈志華, Shen Zhihua
중국의 저명한 역사학자로서 화둥사범대학 종신교수이며 화둥사범대학 냉전사연구센터 센터장이다. 동시에 싱크탱크 태화(太和)의 고급연구원, 중국사회과학원 아태연구소 겸임연구원, 중국사학회 이사, 홍콩중문대학 중국당대문화연구센터 명예연구원, 북경대학 역사학과 겸임연구원, 중국인민대학 역사학과 겸임연구원, 홍콩대학 명예연구원, 미국의 우드로웰슨센터 선임연구원이기도 하다. 주요 연구분야는 국제냉전사, 소련사, 중소관계사, 중북관계 등이다. 한국에 이미 번역 출판된 책으로는 『최후의 천조』, 『조선전쟁의 재탐구』, 『마오쩌뚱 스탈린과 조선전쟁』 등이 있다.
번역 김국헌
金國憲, Jin Guoxian
중국 연변에서 태어났고 연변대학교를 졸업한 이후 한국에 유학 왔다. 이후 숭실대학교에서 한국사를 공부했고,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에서 『한국의 스포츠적 근대-조선체육회의 연속과 단절』로 한국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국의 연변대학 조선한국학센터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고, 코리아노폰 연구센터의 해외 연구이사이기도 하다. 한반도 분단 문제에 관심을 갖고 한반도평화포럼과 같은 싱크탱크의 활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현재 한국과 중국학자들의 지식을 서로에게 전달하는 ‘지식의 전달자’가 되는 것을 꿈꾸고 있다.
목차
38선의 유래
38선의 역사적 작용
한국전쟁 발발의 역사적 진실 - 새로운 러시아 기밀 해제 문서를 중심으로
김일성의 적극적인 전쟁 획책
스탈린의 전쟁계획 참여
마오쩌둥은 기성사실을 받아들이다
소련과 북한이 연합하여 침공을 개시
중소조약과 소련의 극동에서의 전략목표
국제정세의 변화
정책결정 형성의 전제
정책결정을 바꾼 동기
정책결정을 보증하는 조건
극동에서 소련의 전략이익을 보장 - 한국전쟁 발발 원인과 스탈린의 정책결정의 동기
애치슨 연설이 스탈린의 신경을 건드렸을까?
소련대표는 왜 안보리에 돌아가지 않았을까?
스탈린은 정말로 아시아혁명을 추진했을까?
스탈린의 진짜 목적은 무엇이었을까?
미국은 한국전쟁에 어떻게 개입하게 되었을까? 그 과정과 근거
38선을 넘다 - 미국이 한국전쟁을 확대한 전략적 결정
38선을 넘는 문제의 제기와 이에 대한 논쟁
전쟁 상황의 변화가 정치적 결정을 추동
미국의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친 요소들
중국의 한반도 출병의 정책결정 과정
중국은 한반도 충돌에 개입할 의지가 없었다
전쟁 초기 군사방어전략
마오쩌둥의 네 차례 출병결심
중국영도자의 심층 우려
항미원조전쟁 정책결정에 있어서의 소련 요소
38선을 넘는 정책결정
스탈린의 분규조정
유엔 제안의 거절
정전협상제안의 제기
협상과정에서 스탈린의 마오에 대한 지지
마오가 모스크바의 지휘를 수용
항미원조전쟁에서의 소련공군
한국전쟁 초기 소련공군출동 문제에 대한 재고찰 - 러시아연방 국방부 기밀 해제 문서를 기초로
스탈린은 소련공군의 동원을 보증했다
모스크바는 중국의 출병을 급해하지 않았다
김일성은 국제적인 공군원조를 기대했다
마오쩌둥은 급히 한반도에 출병하여 원조하려 했다
스탈린이 지원군에게 공중엄호를 제공하는 것을 거절하다
소련공군이 압록강을 넘어 전투에 투입되다
스탈린, 마오쩌둥과 한국전쟁 재논의 - 러시아 문서 기록의 최신 증거에 근거하여
1949년 중국과 소련이 한국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의 공통된 입장
두 번째 조선인부대의 귀국 경과
소련대표는 왜 제때에 안보리에 돌아가지 않은 것일까
중국이 한반도에 출병하는 정책결정의 복잡한 과정
소련이 공군을 출동하여 한반도에서 작전하는 것을 거절한 원인
대일강화와 한반도정전협상
한국전쟁상황의 변화와 미ㆍ소강화방침의 대항
미국은 대일강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정전협상을 지연했다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과 중국, 소련의 정전협상에서의 강경한 입장
중국의 한반도 출병 정책결정에서의 시비와 득실을 논하다 - 50년 뒤 한국전쟁의 역사적 고찰과 반성
중국이 하는 수 없이 한반도에 출병하게 된 합리적 동기
마오쩌둥은 현실을 넘어선 전략방침을 설정했다
동일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지불한 여분의 대가
위기가 닥쳤을 때의 선택 - 한국전쟁에서의 중국의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논평
한국전쟁의 발발을 지지한 정책결정 과정
출병하여 북한을 원조하는 정책결정의 과정에 대하여
유엔의 정전 제안을 거절한 정책결정에 대하여
한국전쟁 정전협상방침에 관련된 정책결정
한국전쟁 기간동안 중국의 정책결정에 대한 평가
부록/ 주요 외국인 이름 번역 대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