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통하여, 폭력적 분쟁은 인간 경험의 뚜렷한 측면이 되어 왔다. 최근 수십년 간 테러리즘, 내전, 민족 국가 간 전쟁, 집단학살, 대량 살상 무기의 확산 등이 뉴스 1면을 차지해 왔다. 언뜻 보아서는 경제학이 이러한 분쟁의 영역에서 말해 줄 것이 별로 없어 보인다. 대부분의 경제학 교과서들은 안전한 환경에서 평화롭게 활동하는 소비자, 생산자, 정부의 행동에 관심을 한정하고 있다. 그런데 다행히도 분쟁경제학은 분쟁과 평화의 이해에 두 가지 중요한 방식으로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첫째, 분쟁경제학은 경제학의 개념, 원리, 방법들을 다양한 분쟁 및 평화 활동의 연구에 적용한다. 둘째, 분쟁경제학은 재화와 자원의 강제 전용을 기본적인 경제활동으로 취급하며, 분쟁이 생산과 교환이라는 전통적 경제활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영향을 받는지 보여준다.
이 책은 이해하기 쉬운, 분쟁경제학의 기본 원리와 주요 주제에 대한 개관을 독자들에게 제공한다. 1장에서 이 분야에 대해 소개하고 2장부터 8장까지는 경제학적 개념 및 방법들을 소개한다. 이 장들은 경제학 교육을 받지 않았거나 분쟁과 평화에 초점을 둔 경제학 원리들을 살펴보기를 원하는 독자들에게 유용할 것이다. 9장부터 17장까지는 분쟁의 지리 및 기술, 전쟁과 평화에 관한 협상 이론, 국가들 간 분쟁, 내전, 테러리즘, 집단학살 및 다른 대규모 잔학행위, 군비경쟁, 확산 및 군비통제, 동맹 행동, 평화 등 분쟁경제학의 주요 주제들을 살펴본다. 이 장들은 응용, 이론적 모형, 실증적 내용의 균형 잡힌 조합을 제공한다.
저자(글) 찰스 앤더튼
코넬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홀리 크로스 대학 경제학 교수이다. 개설 과목으로는 전쟁과 평화의 경제학, 분쟁경제학의 주제들, 집단학살: 사회과학적 관점 등이 있다. 분쟁과 평화에 관한 그의 연구는 Economic Inquiry,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and Organization,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Journal of Genocide Research 등의 학술지 및 Handbook of Defense Economics, Vol. Ⅰ과 Vol.Ⅱ에 실렸다. 그는 Jurgen Brauer와 함께 Economic Aspects of Genocides, Other Mass Atrocities, and Their Prevention (2016)를 공동 편집하였다.
저자(글) 존 카터
코넬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홀리 크로스 대학 명예교수이다. 홀리 크로스 대학에서 그는 공공선택과 정치경제, 미시경제학 실험, 연구방법론 등 다양한 과목들을 가르쳤다. 1993년 그는 홀리 크로스 우수 교육자상을 받았다. 분쟁과 평화에 관한 그의 연구는 Defence and Peace Economics, Economic Inquiry,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and Organization, Handbook of Defense Economics, Vol.Ⅱ 등 많은 학술지와 책에 실렸다.
번역 추기능
고려대학교 경제학과에서 경제학 학사, 서울대대학원 경제학부에서 경제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서울대대학원 통계학과 석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한국지식재산연구원 IP경제연구팀장을 거쳐 해군사관학교 경제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회과학방법론, 경제학원론, 국방경제학, 국제경제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al Change,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Korean Economic Review, 『지식재산연구』, 『경제발전연구』, 『기술혁신연구』, 『기술혁신학회지,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등 국내외 학술지에 꾸준히 논문을 게재해 왔으며, 『국방경제학』, 『Stata를 이용한 통계분석』, 『경영체제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 등 저역서를 출간하였다.
목차
저자 서문 7
역자 서문 11
제 1장. 분쟁과 경제학의 본질, 범위, 관련성 31
1.1 분쟁경제학이란 무엇인가? 31
1.2 분쟁과 평화의 거시적, 미시적 고찰 34
1.2.1 거시적 분쟁: 전쟁, 테러리즘, 대규모 잔학행위 34
1.2.2 미시적 분쟁: 인신매매, 갱단 간 전쟁, 사이버범죄 36
1.2.3 크고 작은 평화증진 노력 39
1.3 분쟁과 평화: 생애주기와 지역 41
1.3.1 분쟁과 평화의 생애주기 41
1.3.2 국제 사회 내 폭력 분쟁의 위험 지역 43
1.4 분쟁경제학의 방법론 44
1.4.1 분쟁과 경제학의 상호의존 44
1.4.2 합리성과 균형 50
1.4.3 정량적 방법 51
1.4.4 분쟁경제학의 학제적 특성 52
1.5 본서의 구성 53
1.6 관련 문헌 54
제 2장. 생산가능곡선과 경제성장 61
2.1 생산가능곡선 모형 61
2.1.1 생산함수 61
2.1.2 생산가능경계 63
2.1.4 생산가능곡선 모형에서 전문화와 무역 67
2.2 응용 68
2.2.1 분쟁의 경제적 비용 68
2.2.2 군비지출과 경제 성장 69
2.2.3 북한의 높은 방위비 부담 72
2.2.4 코스타리카의 비군사화된 경제 74
2.2.5 가족 경제에 대한 전쟁의 효과 74
2.3 관련 문헌 75
제 3장 수요와 공급 79
3.1 수요, 공급, 시장균형 79
3.1.1 수요와 공급 79
3.1.2 시장균형 81
3.2 수요와 공급의 변화 82
3.3 응용 83
3.3.1 소형무기 통제의 어려움 83
3.3.2 멕시코에서의 시장 조건과 AK-47 돌격소총의 가격 84
3.3.3 자유평화 가설 86
3.4 재화 분류: 사적재, 공유자원, 클럽재, 공공재 88
3.5 관련 문헌 90
제 4장 합리적 선택 이론 93
4.1 합리적 선택 모형 93
4.1.1 선호 93
4.1.2 예산제약 98
4.1.3 최적 선택 99
4.2 파라미터들의 변화 100
4.2.1 가격 변화와 개별 수요곡선 100
4.2.2 소득 변화와 개별 엥겔곡선 101
4.3 응용 103
4.3.1 테러리스트들의 목표 선택과 대체 원칙 103
4.3.2 지뢰와 대체의 원리 106
4.3.3 무기와 대민간원조의 전환가능성 108
4.4 관련 문헌 109
제 5장 게임 이론 113
5.1 기본 개념 및 공격 게임 113
5.1.1 게임의 요소 113
5.1.2 전개형과 정규형 114
5.1.3 해와 균형 116
5.2 죄수의 딜레마 게임 120
5.2.1 게임의 요소 120
5.2.2 우월전략과 내쉬균형 121
5.2.3 응용: 군비경쟁과 군비통제 122
5.3 반복적 죄수의 딜레마 게임 123
5.3.1 상호 협력의 가능성 124
5.3.2 팃포탯(tit-for-tat) 126
5.3.3 협력을 유도하기 위한 다른 방아쇠 전략들 127
5.4 치킨 게임 127
5.4.1 게임의 요소 127
5.4.2 내쉬균형 128
5.4.3 응용: 평화유지 게임 129
5.5 관련 문헌 131
제 6장 행동경제학 및 정체성의 경제학 135
6.1 행동 경제학의 기본 개념 135
6.1.1 준거 의존성과 손실회피 성향 135
6.1.2 소유 효과 137
6.1.3 틀짜기 효과 138
6.1.4 확증 편향과 태도의 극화 139
6.1.5 정신적 마비 140
6.2 준거의존성 및 손실회피 성향: 정식 모형 141
6.2.1 준거의존 효용함수 141
6.2.2 예산제약 142
6.2.3 최적 선택 143
6.2.4 손실회피 민감도와 Kahneman-Tversky (KT) 곡선 143
6.2.5 응용: 준거의존, 손실회피 성향, 나치의 ‘전쟁 이데올로기’ 144
6.3 정체성 경제학의 기본 개념 145
6.3.1 사회적 범주, 규범, 정체성 효용 145
6.3.2 자아정체성과 동기부여된 추론과 확신 147
6.3.3 사회적 맥락과 선호의 변화 149
6.4 정체성 효용: 정식 모형 149
6.4.1 정체성 민감 효용함수 149
6.4.2 예산제약 150
6.4.3 최적 선택 150
6.4.4 정체성 민감도 및 Akerlof-Kranton (AK) 곡선 151
6.4.5 응용: 정체성 조정 선호와 외로운 늑대 테러리스트 153
6.5 관련 문헌 154
제 7장 네트워크 경제학 157
7.1 네트워크 분석의 기본 개념 158
7.1.1 행위자들 및 그들 간 연결 158
7.1.2 무방향, 방향성, 가중 연결 159
7.1.3 연결선 수, 밀도, 구조적 틈새, 약한 연결 160
7.1.4 중심성 162
7.2 네트워크에서의 행태적 결과 165
7.2.1 허브, 스포크, 클러스트 165
7.2.2 작은 세상 167
7.2.3 전염 167
7.2.4 문턱과 변환점 169
7.3 분쟁과 평화에 대한 선형 2차 모형 171
7.3.1 선형 2차 모형의 핵심 요소 172
7.3.2 평화를 위한 개입 174
7.4 응용: 911 테러 178
7.5 관련 문헌 180
제 8장 분쟁성공함수와 전용가능성 이론 184
8.1 분쟁성공함수 184
8.2 전용가능성 모형 186
8.2.1 자원 분쟁의 기본 모형 186
8.2.1 자원분쟁 모형에서의 평화합의 가능성 189
8.3 생산/교환경제에서의 전용가능성 190
8.3.1 확보자산하의 특화 생산과 교역 190
8.3.1 불확정 자원과 생산/교환 경제의 쇠퇴 195
8.4 관련 문헌 202
제 9장 분쟁의 지리적 기술적 측면 209
9.1 Boulding의 공간 분쟁 모형 209
9.1.1 기본 모형 209
9.1.2 응용 212
9.2 O’Sullivan의 3차원 공간 분쟁 모형 219
9.2.1 군사력 배분에 관한 피라미드 모형 220
9.2.2 영역 분쟁과 병력 집중 221
9.2.3 응용: 아프가니스탄에서 탈레반의 생존성 221
9.3 기술, 지역, 전략: Schelling의 내재적 전쟁 (평화) 성향 222
9.3.1 소모전에 관한 기본 Lanchester 모형 223
9.3.2 Lanchester 공격/방어 모형 224
9.3.3 응용 226
9.4 관련 문헌 229
제 10장 전쟁과 평화에 대한 협상이론 233
10.1 두 가지 명제와 한 가지 핵심 질문 233
10.1.1 명제 1: 전쟁은 값비싸다. 233
10.1.2 명제 2: 평화는 교전국들에게 잠재적 상호 이득을 제공한다. 235
10.1.3 핵심 질문: 전쟁이 왜 일어나는가? 235
10.2 분쟁과 평화의 요소들 236
10.3 폭력적 분쟁이 원천: 합리주의자 관점 238
10.3.1 기대의 불일치 238
10.3.2 확약 문제 239
10.3.3 정치적 편향 245
10.3.4 기타 합리주의자 전쟁 원인들 247
10.4 폭력적 분쟁의 비합리주의 원인들 248
10.4.1 행동경제학의 관점: 준거의존과 손실회피 248
10.4.2 정체성 경제학의 관점: 악의적 선호 250
10.5 협상 모형에서의 평화의 원인들 252
10.6 전쟁 위험 요소들에 대한 실증 연구 255
10.6.1 비일관적 기대와 전쟁 발발 255
10.6.2 공격/방어 이론과 선제적 전쟁 256
10.6.3 힘의 이동과 선제적 전쟁 257
10.6.4 불가분성과 민족 전쟁 258
10.6.5 정치적 편향과 장기간의 분쟁 258
10.7 관련 문헌 259
제 11장 국가 간 분쟁 265
11.1 정의 265
11.2 국가 간 무장 분쟁의 유형 266
11.3 국가 간 전쟁 위험 및 예방에 관한 이론 268
11.3.1 협상 이론 268
11.3.2 지속적, 전략적 국가 간 경쟁관계 270
11.4 국가 간 분쟁 위험 및 예방에 관한 실증 연구 272
11.4.1 국가 간 군사분쟁의 위험 요인들 272
11.4.2 국가 간 분쟁 예방 281
11.5 국가 간 분쟁의 경제적 결과 282
11.5.1 전쟁이 무역에 미치는 영향 282
11.5.2 세계 1차 대전 중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총 대 빵’ 상반관계 284
11.6 관련 문헌 285
제 12장 내전 291
12.1 정의 291
12.2 무장 국내 분쟁의 유형 292
12.3 내전 위험 및 예방에 관한 이론 296
12.3.1 내전의 동기와 조건 296
12.3.2 협상이론 301
12.4 내전 위험 및 예방에 관한 실증 연구 302
12.4.1 내전의 위험 요소 302
12.4.2 내전 예방 307
12.5 내전의 경제적 결과 308
12.5.1 내전과 경제성장 309
12.5.2 미시적 비용 310
12.5.3 시리아 내전의 경제적 효과 311
12.6 관련 문헌 313
제 13장 테러리즘 317
13.1 정의 317
13.2 테러리즘의 유형 318
13.3 테러리즘의 위험과 예방에 관한 이론 322
13.3.1 테러리즘에 관한 합리적 선택 모형 322
13.3.2 테러리즘에 관한 게임이론 모형 331
13.3.3 테러리즘에 관한 네트워크 관점 337
13.4 테러리즘의 위험과 예방에 관한 실증 연구 340
13.4.1 테러리즘의 위험 요소들 340
13.4.2 테러리즘 예방 345
13.5 테러리즘의 경제적 결과 347
13.5.1 테러리즘과 경제 성장 347
13.5.2 테러리즘과 미시적 투자 347
13.6 관련 문헌 348
제 14장 집단학살과 그 외 대규모 잔학행위 351
14.1 정의 351
14.2 민간인 대상 대규모 잔학행위와 낮은 수준의 폭력 유형 353
14.3 대규모 잔학행위의 핵심 행위자: 집단학살 연구의 관점 357
14.3.1 가해자, 희생자, 기타 행위자의 삼각형 357
14.3.2 집단학살 연구에서의 상황적 패러다임 359
14.3.3 대규모 잔학행위: 이유 359
14.4 집단학살 위험 및 예방에 관한 합리적 선택 모형 361
14.4.1 대규모 잔학행위 발생의 위험 361
14.4.2 대규모 잔학행위의 예방 364
14.4.3 대규모 잔학행위 맥락에서의 정체성-보정 선호 364
14.5 집단학살 위험과 예방에 관한 게임이론 모형 366
14.5.1 바닥을 향한 경쟁: 내전에서의 민간인 대상 폭력 366
14.5.2 진화게임 이론과 공격과 평화의 사회적 진화 369
14.6 집단학살의 전파와 예방에 관한 네트워크 모형 376
14.6.1 나치 박해의 문어발 376
14.6.2 집단학살의 인근으로의 전염 379
14.7 대규모 잔학행위 위험과 예방에 관한 실증 연구 381
14.7.1 대규모 잔학행위 발생의 위험 요인 381
14.7.2 집단학살 전파의 위험 요인 382
14.7.3 대규모 잔학행위의 예방 383
14.8 대규모 잔학행위의 경제적 결과 384
14.8.1 경제 성장 384
14.8.2 러시아 지역 홀로코스트의 경제적 영향 385
14.9 관련 문헌 386
제 15장 군비경쟁, 확산, 군비통제 393
15.1 정의 393
15.2 군비지출, 군비경쟁, 확산, 군비통제의 유형 394
15.2.1 군비지출 394
15.2.2 군비경쟁 395
15.2.3 확산 397
15.2.4 군비통제 400
15.3 Richardson의 군비경쟁 모형 403
15.3.1 Richardson의 미분 방정식 403
15.3.2 반응함수와 균형 404
15.3.3 군비경쟁의 안정성 404
15.3.4 수치 예 405
15.4 Intriligator-Brito 모형 406
15.4.1 억제와 공격의 조건들 407
15.4.2 응용 410
15.5 군비경쟁에 대한 경제적 선택 모형 414
15.5.1 군사재와 민간재 간 자원의 최적 배분 414
15.5.2 반응곡선과 군비경쟁 균형 416
15.5.3 응용 417
15.6 실증 연구 421
15.6.1 군비경쟁의 구조 421
15.6.2 군비경쟁과 전쟁 위험 422
15.6.2 대량살상무기의 확산 423
15.7 관련 문헌 424
제 16장 안보 동맹 429
16.1 정의 429
16.2 국가 간 동맹의 패턴 431
16.3 동맹에 관한 순수 공공재 모형 432
16.3.1 공공재와 동맹 432
16.3.2 도식 모형 433
16.3.3 함의 437
16.4 동맹에 관한 결합 생산 모형 441
16.4.1 순수 공공재, 비순수 공공재, 사적재 441
16.4.2 공공재 공급의 기술과 결합생산 모형 442
16.4.3 함의 444
16.5 실증 연구 444
16.5.1 NATO 내 비용 분담 444
16.5.2 동맹과 군사적 충돌의 위험 447
16.6 동맹이론의 기후변화에의 적용 449
16.7 관련 문헌 450
제 17장 평화 455
17.1 정의 455
17.2 평화의 패턴 457
17.2.1 세계 평화 지수와 적극적 평화 지수 457
17.2.2 거시 다자적 평화 활동 460
17.2.3 비정부 기구에 의한 미시 평화 활동 460
17.3 경제 모형과 평화 창출 462
17.3.1 평화 창출에 대한 네트워크 관점 462
17.3.2 전쟁과 평화에 대한 협상 모형에서의 평화 창출 465
17.3.3 안정적 평화로의 변천 467
17.4 전후 재건의 경제적 측면 470
17.4.1 거시경제적 과제 471
17.4.2 미시경제적 과제 473
17.4.3 제도경제학과 재건 476
17.5 분쟁 예방과 평화에 대한 실증 연구 476
17.5.1 제3자 개입과 국가 간 분쟁의 종식 476
17.5.2 포괄적 평화 협정과 내전의 종식 477
17.5.3 평화 조직의 네트워크 478
17.5.4 제3자 개입의 실패 479
17.5.4 평화의 상관물에 대한 실증 연구 481
17.6 평화의 경제적 결과 482
17.6.1 남수단 UN 평화유지 활동의 농업 경제적 영향 482
17.6.2 콜롬비아 관광 산업에 대한 평화의 편익 483
17.7 관련 문헌 484
부록 487
A 무기 기술에 관한 간략 입문 487
A.1 소형 무기 및 경화기 487
A.2 주요 재래식 무기 488
A.3 대량 살상 무기 490
A.4 사이버 무기 491
A.5 부상하는 군사기술들 492
B 전쟁과 평화에 대한 협상 모형 493
B.1 자원 분쟁에 관한 기본 모형 493
B.1.1 전쟁 시의 순자원함수 493
B.1.2 반응함수와 전쟁 균형 494
B.1.3 함의 시의 순자원함수 494
B.1.4 반응함수와 합의 균형 495
B.2 폭력의 원천 496
C 네트워크 모형을 풀기 위한 행렬대수 498
C.1 그림 7.5의 네트워크의 균형 행동 498
C.2 그림 14.8 네트워크 상단 문어발의 균형 행동 500
C.3 그림 17.1 분쟁 해결 조직 네트워크의 균형 행동 500
D 분쟁과 평화 데이터 502
D.1 국가 간 분쟁 (interstate conflicts, 11장) 502
D.2 국가 내 분쟁 (intrastate conflicts, 12장) 503
D.3 테러리즘 (13장) 504
D.4 대규모 잔학행위 (14장) 506
D.5 군비지출, 군비 확충, 군 인력 (15장) 508
D.6 국가 간 동맹 (16장) 509
D.7 평화 (17장) 510
E 회귀분석 방법 512
저자(글) 찰스 앤더튼
코넬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홀리 크로스 대학 경제학 교수이다. 개설 과목으로는 전쟁과 평화의 경제학, 분쟁경제학의 주제들, 집단학살: 사회과학적 관점 등이 있다. 분쟁과 평화에 관한 그의 연구는 Economic Inquiry,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and Organization,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Journal of Genocide Research 등의 학술지 및 Handbook of Defense Economics, Vol. Ⅰ과 Vol.Ⅱ에 실렸다. 그는 Jurgen Brauer와 함께 Economic Aspects of Genocides, Other Mass Atrocities, and Their Prevention (2016)를 공동 편집하였다.
저자(글) 존 카터
코넬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홀리 크로스 대학 명예교수이다. 홀리 크로스 대학에서 그는 공공선택과 정치경제, 미시경제학 실험, 연구방법론 등 다양한 과목들을 가르쳤다. 1993년 그는 홀리 크로스 우수 교육자상을 받았다. 분쟁과 평화에 관한 그의 연구는 Defence and Peace Economics, Economic Inquiry,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and Organization, Handbook of Defense Economics, Vol.Ⅱ 등 많은 학술지와 책에 실렸다.
번역 추기능
고려대학교 경제학과에서 경제학 학사, 서울대대학원 경제학부에서 경제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서울대대학원 통계학과 석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한국지식재산연구원 IP경제연구팀장을 거쳐 해군사관학교 경제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회과학방법론, 경제학원론, 국방경제학, 국제경제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al Change,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Korean Economic Review, 『지식재산연구』, 『경제발전연구』, 『기술혁신연구』, 『기술혁신학회지,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등 국내외 학술지에 꾸준히 논문을 게재해 왔으며, 『국방경제학』, 『Stata를 이용한 통계분석』, 『경영체제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 등 저역서를 출간하였다.
목차
저자 서문 7
역자 서문 11
제 1장. 분쟁과 경제학의 본질, 범위, 관련성 31
1.1 분쟁경제학이란 무엇인가? 31
1.2 분쟁과 평화의 거시적, 미시적 고찰 34
1.2.1 거시적 분쟁: 전쟁, 테러리즘, 대규모 잔학행위 34
1.2.2 미시적 분쟁: 인신매매, 갱단 간 전쟁, 사이버범죄 36
1.2.3 크고 작은 평화증진 노력 39
1.3 분쟁과 평화: 생애주기와 지역 41
1.3.1 분쟁과 평화의 생애주기 41
1.3.2 국제 사회 내 폭력 분쟁의 위험 지역 43
1.4 분쟁경제학의 방법론 44
1.4.1 분쟁과 경제학의 상호의존 44
1.4.2 합리성과 균형 50
1.4.3 정량적 방법 51
1.4.4 분쟁경제학의 학제적 특성 52
1.5 본서의 구성 53
1.6 관련 문헌 54
제 2장. 생산가능곡선과 경제성장 61
2.1 생산가능곡선 모형 61
2.1.1 생산함수 61
2.1.2 생산가능경계 63
2.1.4 생산가능곡선 모형에서 전문화와 무역 67
2.2 응용 68
2.2.1 분쟁의 경제적 비용 68
2.2.2 군비지출과 경제 성장 69
2.2.3 북한의 높은 방위비 부담 72
2.2.4 코스타리카의 비군사화된 경제 74
2.2.5 가족 경제에 대한 전쟁의 효과 74
2.3 관련 문헌 75
제 3장 수요와 공급 79
3.1 수요, 공급, 시장균형 79
3.1.1 수요와 공급 79
3.1.2 시장균형 81
3.2 수요와 공급의 변화 82
3.3 응용 83
3.3.1 소형무기 통제의 어려움 83
3.3.2 멕시코에서의 시장 조건과 AK-47 돌격소총의 가격 84
3.3.3 자유평화 가설 86
3.4 재화 분류: 사적재, 공유자원, 클럽재, 공공재 88
3.5 관련 문헌 90
제 4장 합리적 선택 이론 93
4.1 합리적 선택 모형 93
4.1.1 선호 93
4.1.2 예산제약 98
4.1.3 최적 선택 99
4.2 파라미터들의 변화 100
4.2.1 가격 변화와 개별 수요곡선 100
4.2.2 소득 변화와 개별 엥겔곡선 101
4.3 응용 103
4.3.1 테러리스트들의 목표 선택과 대체 원칙 103
4.3.2 지뢰와 대체의 원리 106
4.3.3 무기와 대민간원조의 전환가능성 108
4.4 관련 문헌 109
제 5장 게임 이론 113
5.1 기본 개념 및 공격 게임 113
5.1.1 게임의 요소 113
5.1.2 전개형과 정규형 114
5.1.3 해와 균형 116
5.2 죄수의 딜레마 게임 120
5.2.1 게임의 요소 120
5.2.2 우월전략과 내쉬균형 121
5.2.3 응용: 군비경쟁과 군비통제 122
5.3 반복적 죄수의 딜레마 게임 123
5.3.1 상호 협력의 가능성 124
5.3.2 팃포탯(tit-for-tat) 126
5.3.3 협력을 유도하기 위한 다른 방아쇠 전략들 127
5.4 치킨 게임 127
5.4.1 게임의 요소 127
5.4.2 내쉬균형 128
5.4.3 응용: 평화유지 게임 129
5.5 관련 문헌 131
제 6장 행동경제학 및 정체성의 경제학 135
6.1 행동 경제학의 기본 개념 135
6.1.1 준거 의존성과 손실회피 성향 135
6.1.2 소유 효과 137
6.1.3 틀짜기 효과 138
6.1.4 확증 편향과 태도의 극화 139
6.1.5 정신적 마비 140
6.2 준거의존성 및 손실회피 성향: 정식 모형 141
6.2.1 준거의존 효용함수 141
6.2.2 예산제약 142
6.2.3 최적 선택 143
6.2.4 손실회피 민감도와 Kahneman-Tversky (KT) 곡선 143
6.2.5 응용: 준거의존, 손실회피 성향, 나치의 ‘전쟁 이데올로기’ 144
6.3 정체성 경제학의 기본 개념 145
6.3.1 사회적 범주, 규범, 정체성 효용 145
6.3.2 자아정체성과 동기부여된 추론과 확신 147
6.3.3 사회적 맥락과 선호의 변화 149
6.4 정체성 효용: 정식 모형 149
6.4.1 정체성 민감 효용함수 149
6.4.2 예산제약 150
6.4.3 최적 선택 150
6.4.4 정체성 민감도 및 Akerlof-Kranton (AK) 곡선 151
6.4.5 응용: 정체성 조정 선호와 외로운 늑대 테러리스트 153
6.5 관련 문헌 154
제 7장 네트워크 경제학 157
7.1 네트워크 분석의 기본 개념 158
7.1.1 행위자들 및 그들 간 연결 158
7.1.2 무방향, 방향성, 가중 연결 159
7.1.3 연결선 수, 밀도, 구조적 틈새, 약한 연결 160
7.1.4 중심성 162
7.2 네트워크에서의 행태적 결과 165
7.2.1 허브, 스포크, 클러스트 165
7.2.2 작은 세상 167
7.2.3 전염 167
7.2.4 문턱과 변환점 169
7.3 분쟁과 평화에 대한 선형 2차 모형 171
7.3.1 선형 2차 모형의 핵심 요소 172
7.3.2 평화를 위한 개입 174
7.4 응용: 911 테러 178
7.5 관련 문헌 180
제 8장 분쟁성공함수와 전용가능성 이론 184
8.1 분쟁성공함수 184
8.2 전용가능성 모형 186
8.2.1 자원 분쟁의 기본 모형 186
8.2.1 자원분쟁 모형에서의 평화합의 가능성 189
8.3 생산/교환경제에서의 전용가능성 190
8.3.1 확보자산하의 특화 생산과 교역 190
8.3.1 불확정 자원과 생산/교환 경제의 쇠퇴 195
8.4 관련 문헌 202
제 9장 분쟁의 지리적 기술적 측면 209
9.1 Boulding의 공간 분쟁 모형 209
9.1.1 기본 모형 209
9.1.2 응용 212
9.2 O’Sullivan의 3차원 공간 분쟁 모형 219
9.2.1 군사력 배분에 관한 피라미드 모형 220
9.2.2 영역 분쟁과 병력 집중 221
9.2.3 응용: 아프가니스탄에서 탈레반의 생존성 221
9.3 기술, 지역, 전략: Schelling의 내재적 전쟁 (평화) 성향 222
9.3.1 소모전에 관한 기본 Lanchester 모형 223
9.3.2 Lanchester 공격/방어 모형 224
9.3.3 응용 226
9.4 관련 문헌 229
제 10장 전쟁과 평화에 대한 협상이론 233
10.1 두 가지 명제와 한 가지 핵심 질문 233
10.1.1 명제 1: 전쟁은 값비싸다. 233
10.1.2 명제 2: 평화는 교전국들에게 잠재적 상호 이득을 제공한다. 235
10.1.3 핵심 질문: 전쟁이 왜 일어나는가? 235
10.2 분쟁과 평화의 요소들 236
10.3 폭력적 분쟁이 원천: 합리주의자 관점 238
10.3.1 기대의 불일치 238
10.3.2 확약 문제 239
10.3.3 정치적 편향 245
10.3.4 기타 합리주의자 전쟁 원인들 247
10.4 폭력적 분쟁의 비합리주의 원인들 248
10.4.1 행동경제학의 관점: 준거의존과 손실회피 248
10.4.2 정체성 경제학의 관점: 악의적 선호 250
10.5 협상 모형에서의 평화의 원인들 252
10.6 전쟁 위험 요소들에 대한 실증 연구 255
10.6.1 비일관적 기대와 전쟁 발발 255
10.6.2 공격/방어 이론과 선제적 전쟁 256
10.6.3 힘의 이동과 선제적 전쟁 257
10.6.4 불가분성과 민족 전쟁 258
10.6.5 정치적 편향과 장기간의 분쟁 258
10.7 관련 문헌 259
제 11장 국가 간 분쟁 265
11.1 정의 265
11.2 국가 간 무장 분쟁의 유형 266
11.3 국가 간 전쟁 위험 및 예방에 관한 이론 268
11.3.1 협상 이론 268
11.3.2 지속적, 전략적 국가 간 경쟁관계 270
11.4 국가 간 분쟁 위험 및 예방에 관한 실증 연구 272
11.4.1 국가 간 군사분쟁의 위험 요인들 272
11.4.2 국가 간 분쟁 예방 281
11.5 국가 간 분쟁의 경제적 결과 282
11.5.1 전쟁이 무역에 미치는 영향 282
11.5.2 세계 1차 대전 중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총 대 빵’ 상반관계 284
11.6 관련 문헌 285
제 12장 내전 291
12.1 정의 291
12.2 무장 국내 분쟁의 유형 292
12.3 내전 위험 및 예방에 관한 이론 296
12.3.1 내전의 동기와 조건 296
12.3.2 협상이론 301
12.4 내전 위험 및 예방에 관한 실증 연구 302
12.4.1 내전의 위험 요소 302
12.4.2 내전 예방 307
12.5 내전의 경제적 결과 308
12.5.1 내전과 경제성장 309
12.5.2 미시적 비용 310
12.5.3 시리아 내전의 경제적 효과 311
12.6 관련 문헌 313
제 13장 테러리즘 317
13.1 정의 317
13.2 테러리즘의 유형 318
13.3 테러리즘의 위험과 예방에 관한 이론 322
13.3.1 테러리즘에 관한 합리적 선택 모형 322
13.3.2 테러리즘에 관한 게임이론 모형 331
13.3.3 테러리즘에 관한 네트워크 관점 337
13.4 테러리즘의 위험과 예방에 관한 실증 연구 340
13.4.1 테러리즘의 위험 요소들 340
13.4.2 테러리즘 예방 345
13.5 테러리즘의 경제적 결과 347
13.5.1 테러리즘과 경제 성장 347
13.5.2 테러리즘과 미시적 투자 347
13.6 관련 문헌 348
제 14장 집단학살과 그 외 대규모 잔학행위 351
14.1 정의 351
14.2 민간인 대상 대규모 잔학행위와 낮은 수준의 폭력 유형 353
14.3 대규모 잔학행위의 핵심 행위자: 집단학살 연구의 관점 357
14.3.1 가해자, 희생자, 기타 행위자의 삼각형 357
14.3.2 집단학살 연구에서의 상황적 패러다임 359
14.3.3 대규모 잔학행위: 이유 359
14.4 집단학살 위험 및 예방에 관한 합리적 선택 모형 361
14.4.1 대규모 잔학행위 발생의 위험 361
14.4.2 대규모 잔학행위의 예방 364
14.4.3 대규모 잔학행위 맥락에서의 정체성-보정 선호 364
14.5 집단학살 위험과 예방에 관한 게임이론 모형 366
14.5.1 바닥을 향한 경쟁: 내전에서의 민간인 대상 폭력 366
14.5.2 진화게임 이론과 공격과 평화의 사회적 진화 369
14.6 집단학살의 전파와 예방에 관한 네트워크 모형 376
14.6.1 나치 박해의 문어발 376
14.6.2 집단학살의 인근으로의 전염 379
14.7 대규모 잔학행위 위험과 예방에 관한 실증 연구 381
14.7.1 대규모 잔학행위 발생의 위험 요인 381
14.7.2 집단학살 전파의 위험 요인 382
14.7.3 대규모 잔학행위의 예방 383
14.8 대규모 잔학행위의 경제적 결과 384
14.8.1 경제 성장 384
14.8.2 러시아 지역 홀로코스트의 경제적 영향 385
14.9 관련 문헌 386
제 15장 군비경쟁, 확산, 군비통제 393
15.1 정의 393
15.2 군비지출, 군비경쟁, 확산, 군비통제의 유형 394
15.2.1 군비지출 394
15.2.2 군비경쟁 395
15.2.3 확산 397
15.2.4 군비통제 400
15.3 Richardson의 군비경쟁 모형 403
15.3.1 Richardson의 미분 방정식 403
15.3.2 반응함수와 균형 404
15.3.3 군비경쟁의 안정성 404
15.3.4 수치 예 405
15.4 Intriligator-Brito 모형 406
15.4.1 억제와 공격의 조건들 407
15.4.2 응용 410
15.5 군비경쟁에 대한 경제적 선택 모형 414
15.5.1 군사재와 민간재 간 자원의 최적 배분 414
15.5.2 반응곡선과 군비경쟁 균형 416
15.5.3 응용 417
15.6 실증 연구 421
15.6.1 군비경쟁의 구조 421
15.6.2 군비경쟁과 전쟁 위험 422
15.6.2 대량살상무기의 확산 423
15.7 관련 문헌 424
제 16장 안보 동맹 429
16.1 정의 429
16.2 국가 간 동맹의 패턴 431
16.3 동맹에 관한 순수 공공재 모형 432
16.3.1 공공재와 동맹 432
16.3.2 도식 모형 433
16.3.3 함의 437
16.4 동맹에 관한 결합 생산 모형 441
16.4.1 순수 공공재, 비순수 공공재, 사적재 441
16.4.2 공공재 공급의 기술과 결합생산 모형 442
16.4.3 함의 444
16.5 실증 연구 444
16.5.1 NATO 내 비용 분담 444
16.5.2 동맹과 군사적 충돌의 위험 447
16.6 동맹이론의 기후변화에의 적용 449
16.7 관련 문헌 450
제 17장 평화 455
17.1 정의 455
17.2 평화의 패턴 457
17.2.1 세계 평화 지수와 적극적 평화 지수 457
17.2.2 거시 다자적 평화 활동 460
17.2.3 비정부 기구에 의한 미시 평화 활동 460
17.3 경제 모형과 평화 창출 462
17.3.1 평화 창출에 대한 네트워크 관점 462
17.3.2 전쟁과 평화에 대한 협상 모형에서의 평화 창출 465
17.3.3 안정적 평화로의 변천 467
17.4 전후 재건의 경제적 측면 470
17.4.1 거시경제적 과제 471
17.4.2 미시경제적 과제 473
17.4.3 제도경제학과 재건 476
17.5 분쟁 예방과 평화에 대한 실증 연구 476
17.5.1 제3자 개입과 국가 간 분쟁의 종식 476
17.5.2 포괄적 평화 협정과 내전의 종식 477
17.5.3 평화 조직의 네트워크 478
17.5.4 제3자 개입의 실패 479
17.5.4 평화의 상관물에 대한 실증 연구 481
17.6 평화의 경제적 결과 482
17.6.1 남수단 UN 평화유지 활동의 농업 경제적 영향 482
17.6.2 콜롬비아 관광 산업에 대한 평화의 편익 483
17.7 관련 문헌 484
부록 487
A 무기 기술에 관한 간략 입문 487
A.1 소형 무기 및 경화기 487
A.2 주요 재래식 무기 488
A.3 대량 살상 무기 490
A.4 사이버 무기 491
A.5 부상하는 군사기술들 492
B 전쟁과 평화에 대한 협상 모형 493
B.1 자원 분쟁에 관한 기본 모형 493
B.1.1 전쟁 시의 순자원함수 493
B.1.2 반응함수와 전쟁 균형 494
B.1.3 함의 시의 순자원함수 494
B.1.4 반응함수와 합의 균형 495
B.2 폭력의 원천 496
C 네트워크 모형을 풀기 위한 행렬대수 498
C.1 그림 7.5의 네트워크의 균형 행동 498
C.2 그림 14.8 네트워크 상단 문어발의 균형 행동 500
C.3 그림 17.1 분쟁 해결 조직 네트워크의 균형 행동 500
D 분쟁과 평화 데이터 502
D.1 국가 간 분쟁 (interstate conflicts, 11장) 502
D.2 국가 내 분쟁 (intrastate conflicts, 12장) 503
D.3 테러리즘 (13장) 504
D.4 대규모 잔학행위 (14장) 506
D.5 군비지출, 군비 확충, 군 인력 (15장) 508
D.6 국가 간 동맹 (16장) 509
D.7 평화 (17장) 510
E 회귀분석 방법 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