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룡은 왜 징비록(懲毖錄)을 썼을까?
이 책은 서애 유성룡이 전란의 교훈을 따져 후세에게 전해 잘못된 역사의 답습을 경계시키려 쓴 책으로, 1592년부터 1598년까지 7년 동안 벌어졌던 임진왜란에 대한 기록이다. 조선왕조 최고의 재상이라고 평가받는 서애 유성룡은 임진왜란 당시 최고 관직을 지내면서 군무를 총괄하고 국방 강화와 민심 수습을 위한 여러 정책들을 실행하며 전란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리고 임진왜란이 끝난 뒤 벼슬에서 물러나 있으면서, 급박하게 전개되었던 당시의 상황을 꼼꼼하게 기록했다
저자(글) 서애 유성룡
퇴계 이황의 문하에서 수학했으며 1566년(25세) 문과에 급제해 승문원 권지부정자가 되었다. 1591년(50세) 전란에 대비해 국방을 강화하기 위한 여러 정책들을 제안하고 이순신과 권율을 등용했다. 1592년(51세)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도체찰사로 임명되어 군무를 총괄했다. 난을 피해 파천하는 선조를 호종하여 개성에서 영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반대파의 모함으로 그날로 파직되었다. 1593년 선조가 한양으로 환궁했을 때 다시 영의정에 임명되었으며 군대 양성을 위해 훈련도감을 설치했다. 1598년(57세) 반대파의 탄핵을 받고 관작을 삭탈당했다가 1600년(59세) 다시 회복되었으나 벼슬을 하지 않고 은거하면서 저술 활동에 전념했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이현(而見), 호는 서애(西厓), 시호는 문충(文忠)이며 저서로 『서애집』 『징비록』 등이 있다. 『징비록』은 임진왜란 관련 사료 가운데 가장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저작물로서 국보 132호로 지정되었다.
엮음 김문수
소설가. 전 한양여자대학교 문창과 교수. 현대문학상(1975), 한국일보문학상(1979), 국문학작가상(1986), 조연현문학상(1988), 동인문학상(1989), 오영수문학상(1997), 대한민국문화예술상(1999) 등을 수상했다. 『증묘』 『서러운 꽃』 『어둠 저쪽의 빛』 『그 세월의 뒤』 『가출』 『가지 않은 길』 『만취당기』 등을 비롯한 다수의 작품집과 산문집, 장편동화집이 있다.
목차
이 책을 읽는 분들에게 … 18
서문 … 25
제1부 임진왜란 6년 전부터 파천까지의 기록
1. 일본과 우리나라의 화친(和親) … 30
2. 불길한 조짐 … 34
3. 신립(申砬) 그리고 임진년 봄 … 43
4. 임금이 내리신 보검 … 50
5. 우병사 김성일과 순변사 이일 … 59
6. 안타깝기만 한 조령(鳥嶺) 전투 … 64
7. 파천(播遷) 길에 비까지 퍼붓고 … 72
제2부 평양 파천에서 명나라 군을 맞기까지의 기록
8. 어처구니없는 주검들 … 82
9. 아, 평양성에서 일어난 일들 … 88
10. 송강 정철과의 갈등 … 98
11. 평양도 왜적에게 … 106
12. 명나라 구원병이 드디어 오다 … 112
13. 왜란의 첫 번째 대승, 이순신 … 123
14. 각 고을에서 의병을 일으키다 … 136
제3부 왜적의 철군, 정유재란의 기록
15. 명나라 대부대 지원군의 도착 … 146
16. 한심스러운 제독, 이여송 … 154
17. 나와 이여송과의 대립 … 165
18. 아, 되찾은 한양 … 177
19. 남쪽 끝에서 말썽 부리는 왜적 … 184
20. 아! 감옥살이의 이순신 … 193
21. 이순신,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 … 201
22. 참으로 비통하도다, 이순신의 전사! … 212
제4부 녹후잡기
1. 꼬리를 잇는 괴이한 일들 … 224
2. 세상만사가 천운인 것을 … 226
3. 병법의 으뜸은 ‘유리한 지형’ … 229
4. 우연히 떠오른 기발한 계책 … 233
5. 잘못 간 앞 수레바퀴 자국 … 235
6. 칡덩굴 다리로 기병이 말을 달리다 … 239
7. 왜적 진영에 들어가 화약을 만든 사람 … 242
8. 심유경의 긴 서신 … 245
부록 … 255
-유성룡은 왜 징비록을 썼는가
-임진왜란은 왜 일어났는가
-연표로 보는 임진왜란
저자(글) 서애 유성룡
퇴계 이황의 문하에서 수학했으며 1566년(25세) 문과에 급제해 승문원 권지부정자가 되었다. 1591년(50세) 전란에 대비해 국방을 강화하기 위한 여러 정책들을 제안하고 이순신과 권율을 등용했다. 1592년(51세)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도체찰사로 임명되어 군무를 총괄했다. 난을 피해 파천하는 선조를 호종하여 개성에서 영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반대파의 모함으로 그날로 파직되었다. 1593년 선조가 한양으로 환궁했을 때 다시 영의정에 임명되었으며 군대 양성을 위해 훈련도감을 설치했다. 1598년(57세) 반대파의 탄핵을 받고 관작을 삭탈당했다가 1600년(59세) 다시 회복되었으나 벼슬을 하지 않고 은거하면서 저술 활동에 전념했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이현(而見), 호는 서애(西厓), 시호는 문충(文忠)이며 저서로 『서애집』 『징비록』 등이 있다. 『징비록』은 임진왜란 관련 사료 가운데 가장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저작물로서 국보 132호로 지정되었다.
엮음 김문수
소설가. 전 한양여자대학교 문창과 교수. 현대문학상(1975), 한국일보문학상(1979), 국문학작가상(1986), 조연현문학상(1988), 동인문학상(1989), 오영수문학상(1997), 대한민국문화예술상(1999) 등을 수상했다. 『증묘』 『서러운 꽃』 『어둠 저쪽의 빛』 『그 세월의 뒤』 『가출』 『가지 않은 길』 『만취당기』 등을 비롯한 다수의 작품집과 산문집, 장편동화집이 있다.
목차
이 책을 읽는 분들에게 … 18
서문 … 25
제1부 임진왜란 6년 전부터 파천까지의 기록
1. 일본과 우리나라의 화친(和親) … 30
2. 불길한 조짐 … 34
3. 신립(申砬) 그리고 임진년 봄 … 43
4. 임금이 내리신 보검 … 50
5. 우병사 김성일과 순변사 이일 … 59
6. 안타깝기만 한 조령(鳥嶺) 전투 … 64
7. 파천(播遷) 길에 비까지 퍼붓고 … 72
제2부 평양 파천에서 명나라 군을 맞기까지의 기록
8. 어처구니없는 주검들 … 82
9. 아, 평양성에서 일어난 일들 … 88
10. 송강 정철과의 갈등 … 98
11. 평양도 왜적에게 … 106
12. 명나라 구원병이 드디어 오다 … 112
13. 왜란의 첫 번째 대승, 이순신 … 123
14. 각 고을에서 의병을 일으키다 … 136
제3부 왜적의 철군, 정유재란의 기록
15. 명나라 대부대 지원군의 도착 … 146
16. 한심스러운 제독, 이여송 … 154
17. 나와 이여송과의 대립 … 165
18. 아, 되찾은 한양 … 177
19. 남쪽 끝에서 말썽 부리는 왜적 … 184
20. 아! 감옥살이의 이순신 … 193
21. 이순신,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 … 201
22. 참으로 비통하도다, 이순신의 전사! … 212
제4부 녹후잡기
1. 꼬리를 잇는 괴이한 일들 … 224
2. 세상만사가 천운인 것을 … 226
3. 병법의 으뜸은 ‘유리한 지형’ … 229
4. 우연히 떠오른 기발한 계책 … 233
5. 잘못 간 앞 수레바퀴 자국 … 235
6. 칡덩굴 다리로 기병이 말을 달리다 … 239
7. 왜적 진영에 들어가 화약을 만든 사람 … 242
8. 심유경의 긴 서신 … 245
부록 … 255
-유성룡은 왜 징비록을 썼는가
-임진왜란은 왜 일어났는가
-연표로 보는 임진왜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