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계엄 사태가 불러일으킨
복종과 불복종의 문제를 파헤친 역작
39년간 군에 몸담았던 예비역 장군이
12·3 계엄 직후 충격 속에 써내려간 복종과 불복종에 대한 성찰의 기록
상명하복은 군이 제 기능을 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원칙 중 하나다. 이는 그동안 너무나 당연시 여겨져 복종과 불복종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12·3 계엄 사태에 연루된 군인들을 두고 ‘이해’와 ‘비판’으로 평가가 어지럽게 엇갈리고 있는 지금, 복종과 불복종 문제가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하급자는 상급자의 명령에 무조건 복종해야 하는 것인가? 당연히 대한민국의 현행법은 상급자의 정당한 명령에만 복종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정당한 명령은 어떻게 구분하는가? 군 생활을 경험한 많은 예비역들은 초급 간부와 병사들은 위기 시에는 상관의 명령에 대해 옳고 그름을 판단해서는 안 되고 무조건 상급자의 명령에 따라야 한다고 말한다. 과연 하급자는 위기 시에 생각을 해서는 안 되는 것일까? 생각이 없는 군인은 프로그램에 입력된 명령대로 행동하는 로봇과 어떻게 다른가? 대한민국을 충격에 빠뜨린 12·3 계엄 사태는 “군인은 명령에 복종해야만 한다”는 원칙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저자(글) 전계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45기)하고 한양대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명지대에서 기록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육군종합행정학교장을 마지막으로 38년 10개월의 군 생활을 마치고, 현재는 장병들에게 도서 보급과 문화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사단법인 국군문화진흥원 이사장으로 일하고 있다. 군의 기록물과 역사에 관심이 많으며, 저서로는 『생각하는 군인』, 『망하는 군대는 인기를 따른다』가 있다.
목차
| 들어가며 | 두 개의 자발적 복종
| 제1장 | ‘복종’에 대하여
| 제2장 | 자연과 인간
| 제3장 | 자유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독일군에 구현된 자발적 복종
| 제4장 | 정의
| 제5장 | 양심
양심의 심리적 의미
| 제6장 | 군인
군인과 국방공무원
새로운 전쟁과 군인
전쟁과 복잡계
| 제7장 | 독일 연방군의 ‘임무형 지휘’와 불복종
히틀러의 개입
대한민국 육군의 임무형 지휘
| 제8장 | 복종과 불복종
인간의 복종과 불복종
군인의 복종과 불복종
주군과 배신자
| 제9장 | 법이 말하는 복종과 불복종
| 제10장 | 맹목적 복종과 군기 및 사기
| 제11장 | 복종과 민군관계
| 제12장 | ‘생각하는 군인’을 위하여
| 나가며 |
| 감사의 글 |
| 참고문헌 |
저자(글) 전계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45기)하고 한양대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명지대에서 기록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육군종합행정학교장을 마지막으로 38년 10개월의 군 생활을 마치고, 현재는 장병들에게 도서 보급과 문화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사단법인 국군문화진흥원 이사장으로 일하고 있다. 군의 기록물과 역사에 관심이 많으며, 저서로는 『생각하는 군인』, 『망하는 군대는 인기를 따른다』가 있다.
목차
| 들어가며 | 두 개의 자발적 복종
| 제1장 | ‘복종’에 대하여
| 제2장 | 자연과 인간
| 제3장 | 자유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독일군에 구현된 자발적 복종
| 제4장 | 정의
| 제5장 | 양심
양심의 심리적 의미
| 제6장 | 군인
군인과 국방공무원
새로운 전쟁과 군인
전쟁과 복잡계
| 제7장 | 독일 연방군의 ‘임무형 지휘’와 불복종
히틀러의 개입
대한민국 육군의 임무형 지휘
| 제8장 | 복종과 불복종
인간의 복종과 불복종
군인의 복종과 불복종
주군과 배신자
| 제9장 | 법이 말하는 복종과 불복종
| 제10장 | 맹목적 복종과 군기 및 사기
| 제11장 | 복종과 민군관계
| 제12장 | ‘생각하는 군인’을 위하여
| 나가며 |
| 감사의 글 |
|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