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세종도서 선정작
이 책은 전통적 군사혁신 개념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혁신적 버전의 군사혁신(RMA) 개념인 ‘비대칭성 기반의 한국형 군사혁신(Asymmetric K-RMA)’ 개념을 제시한 후 논증하며 제2의 창군 수준으로 ‘국방혁신 4.0’을 추진하고 있는 한국군에 주는 함의를 제시한다
저자(글) 신치범
건양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육군사관학교 제55기
일본 방위대학교 국제정치 석사
(2010년, 최우수 논문상 수상)
건양대학교 군사학 박사(2023)
現 건양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現 사단법인 미래학회 기획이사
前 서울사이버대학교 대우교수
5군단 통합방위작전과장
육군 미래혁신연구센터 미래지휘구조혁신장교
육군 미래혁신연구센터 지식넷관리팀장
국방부 전력지원체계설립TF 조직편성담당
합동참모본부 비서실 정책과 작전지원분석담당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전속부관
목차
프롤로그
추천사
제1장 서 론_023
제1절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제3절 책의 구성
제2장 이론적 고찰과 분석의 틀_037
제1절 군사혁신과 비대칭성의 본질
제2절 선행연구 검토와 핵심 요인 도출
제3절 연구 분석의 틀
제3장 전통적 군사혁신의 성과와 한계_077
제1절 개요
제2절 러시아의 국방개혁
제3절 한국의 국방개혁
제4절 전통적 군사혁신의 한계와 패러다임의 전환
제4장 비대칭성 기반의 군사혁신 사례 분석_123
제1절 개요
제2절 우크라이나의 군사혁신
제3절 중국의 군사혁신
제4절 평가 및 시사점
제5장 비대칭성 기반의 한국형 군사혁신(Asymmetric K-RMA)을 위한 전략적 접근 방안
제1절 가설 검증과 비교 분석을 통한 총괄적 방향 정립
제2절 비대칭성 창출의 핵심 요인별 전략적 접근 방안
제6장 결론 : ‘국방혁신 4.0’에 주는 함의_221
에필로그
참고문헌
부록. 비대칭성 창출의 4대 핵심 요인에 관한 의견수렴
저자(글) 신치범
건양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육군사관학교 제55기
일본 방위대학교 국제정치 석사
(2010년, 최우수 논문상 수상)
건양대학교 군사학 박사(2023)
現 건양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現 사단법인 미래학회 기획이사
前 서울사이버대학교 대우교수
5군단 통합방위작전과장
육군 미래혁신연구센터 미래지휘구조혁신장교
육군 미래혁신연구센터 지식넷관리팀장
국방부 전력지원체계설립TF 조직편성담당
합동참모본부 비서실 정책과 작전지원분석담당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전속부관
목차
프롤로그
추천사
제1장 서 론_023
제1절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제3절 책의 구성
제2장 이론적 고찰과 분석의 틀_037
제1절 군사혁신과 비대칭성의 본질
제2절 선행연구 검토와 핵심 요인 도출
제3절 연구 분석의 틀
제3장 전통적 군사혁신의 성과와 한계_077
제1절 개요
제2절 러시아의 국방개혁
제3절 한국의 국방개혁
제4절 전통적 군사혁신의 한계와 패러다임의 전환
제4장 비대칭성 기반의 군사혁신 사례 분석_123
제1절 개요
제2절 우크라이나의 군사혁신
제3절 중국의 군사혁신
제4절 평가 및 시사점
제5장 비대칭성 기반의 한국형 군사혁신(Asymmetric K-RMA)을 위한 전략적 접근 방안
제1절 가설 검증과 비교 분석을 통한 총괄적 방향 정립
제2절 비대칭성 창출의 핵심 요인별 전략적 접근 방안
제6장 결론 : ‘국방혁신 4.0’에 주는 함의_221
에필로그
참고문헌
부록. 비대칭성 창출의 4대 핵심 요인에 관한 의견수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