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글) 신치범
건양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육군사관학교 제55기
일본 방위대학교 국제정치 석사
(2010년, 최우수 논문상 수상)
건양대학교 군사학 박사(2023)
現 건양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現 사단법인 미래학회 기획이사
前 서울사이버대학교 대우교수
5군단 통합방위작전과장
육군 미래혁신연구센터 미래지휘구조혁신장교
육군 미래혁신연구센터 지식넷관리팀장
국방부 전력지원체계설립TF 조직편성담당
합동참모본부 비서실 정책과 작전지원분석담당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전속부관
목차
프롤로그
추천사
제1장 연구 목적 및 분석의 관점
제1절 문제의 소재 및 연구의 목적
제2절 선행연구
제3절 분석의 관점
제2장 제1차 북핵 위기와 한미일 관계
제1절 북한의 NPT 탈퇴 선언과 1차 미북 고위급 회담
제1항 한반도를 둘러싼 핵 비확산 제도 간 협력의 기원과 좌절
제2항 새로운 ‘미북 관계’의 시작과 한미일 안보 협력
제2절 2차 미북 고위급 회담과 경수로 지원 계획
제1항 북한의 경수로 지원 요구와 제도 간 연계 시도
제2항 제도 간 협력의 좌절과 전쟁의 위기
제3절 3차 미북 고위급 회담과 제네바 합의서
제4절 한미·미일 동맹과 미북 협상의 상호작용 - ‘외부화’+‘내부화’의 중층적 구조
제3장 북한 잠수함 침투 사건과 한미일 관계
제1절 KEDO의 복합적 의미
제1항 한미일 안보 협력 메커니즘 중층적 구조의 탄생
제2항 북한의 ‘외부화’와 ‘내부화’ - 한미일의 위협 인식과 이해관계 공유
제3항 한미일 이해관계의 불일치
제2절 북한 잠수함 침투 사건과 한미일의 대응
제3절 한미·미일 동맹과 KEDO의 상호작용
제4장 북한의 대포동 1호 미사일 발사와 한미일 관계
제1절 대포동 1호 미사일 발사와 KEDO
제1항 한미일 3국의 대응 - 일본의 ‘돌출’ 행동
제2항 동맹과 KEDO의 상호작용 - 미사일 위협 인식과 이해관계
제2절 ‘페리 프로세스’와 한미일 3국 간 안보협력 관계
제1항 대북 정책 재검토 요구 - 제네바 합의서의 함정 노정
제2항 ‘페리 프로세스’와 TCOG - 중층적 한미일 안보 협력 메커니즘 강화
제3절 한미·미일 동맹, KEDO, 그리고 TCOG 간의 상호작용
제5장 북한의 HEU 계획 발각과 한미일 관계
제1항 부시 행정부의 대북 정책 -「아미티지 보고서」와의 관계
제2항 9·11테러와 미국의 대북 정책 - ‘對확산’으로의 전환
제2절 한미·미일 동맹과 KEDO, 그리고 TCOG 간의 상호작용Ⅱ
제1항 HEU 계획과 제네바 합의의 붕괴 - KEDO로의 파급 효과
제2항 선제공격론과 한미동맹의 ‘역기능’ - TCOG로의 파급 효과
제6장 한미일 안보 협력 메커니즘 중층적 구조의 역학
에필로그
참고자료
석사 학위 논문 일본어 원문
저자(글) 신치범
건양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육군사관학교 제55기
일본 방위대학교 국제정치 석사
(2010년, 최우수 논문상 수상)
건양대학교 군사학 박사(2023)
現 건양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現 사단법인 미래학회 기획이사
前 서울사이버대학교 대우교수
5군단 통합방위작전과장
육군 미래혁신연구센터 미래지휘구조혁신장교
육군 미래혁신연구센터 지식넷관리팀장
국방부 전력지원체계설립TF 조직편성담당
합동참모본부 비서실 정책과 작전지원분석담당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전속부관
목차
프롤로그
추천사
제1장 연구 목적 및 분석의 관점
제1절 문제의 소재 및 연구의 목적
제2절 선행연구
제3절 분석의 관점
제2장 제1차 북핵 위기와 한미일 관계
제1절 북한의 NPT 탈퇴 선언과 1차 미북 고위급 회담
제1항 한반도를 둘러싼 핵 비확산 제도 간 협력의 기원과 좌절
제2항 새로운 ‘미북 관계’의 시작과 한미일 안보 협력
제2절 2차 미북 고위급 회담과 경수로 지원 계획
제1항 북한의 경수로 지원 요구와 제도 간 연계 시도
제2항 제도 간 협력의 좌절과 전쟁의 위기
제3절 3차 미북 고위급 회담과 제네바 합의서
제4절 한미·미일 동맹과 미북 협상의 상호작용 - ‘외부화’+‘내부화’의 중층적 구조
제3장 북한 잠수함 침투 사건과 한미일 관계
제1절 KEDO의 복합적 의미
제1항 한미일 안보 협력 메커니즘 중층적 구조의 탄생
제2항 북한의 ‘외부화’와 ‘내부화’ - 한미일의 위협 인식과 이해관계 공유
제3항 한미일 이해관계의 불일치
제2절 북한 잠수함 침투 사건과 한미일의 대응
제3절 한미·미일 동맹과 KEDO의 상호작용
제4장 북한의 대포동 1호 미사일 발사와 한미일 관계
제1절 대포동 1호 미사일 발사와 KEDO
제1항 한미일 3국의 대응 - 일본의 ‘돌출’ 행동
제2항 동맹과 KEDO의 상호작용 - 미사일 위협 인식과 이해관계
제2절 ‘페리 프로세스’와 한미일 3국 간 안보협력 관계
제1항 대북 정책 재검토 요구 - 제네바 합의서의 함정 노정
제2항 ‘페리 프로세스’와 TCOG - 중층적 한미일 안보 협력 메커니즘 강화
제3절 한미·미일 동맹, KEDO, 그리고 TCOG 간의 상호작용
제5장 북한의 HEU 계획 발각과 한미일 관계
제1항 부시 행정부의 대북 정책 -「아미티지 보고서」와의 관계
제2항 9·11테러와 미국의 대북 정책 - ‘對확산’으로의 전환
제2절 한미·미일 동맹과 KEDO, 그리고 TCOG 간의 상호작용Ⅱ
제1항 HEU 계획과 제네바 합의의 붕괴 - KEDO로의 파급 효과
제2항 선제공격론과 한미동맹의 ‘역기능’ - TCOG로의 파급 효과
제6장 한미일 안보 협력 메커니즘 중층적 구조의 역학
에필로그
참고자료
석사 학위 논문 일본어 원문